매일일보 = 이재형 기자 | 국내 4대 금융지주의 연말 주요 보직 인사와 조직 개편이 마무리 단계다. 내년 하반기까지 고금리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경기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는 가운데 주요 금융 지주사들은 변화보다는 ‘안정’을 택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가계·기업대출 부실 등 문제가 가시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내실을 더욱 강화했다는 평가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는 연말 계열사 CEO·임원 인사와 조직개편을 대부분 마쳤다.
우리금융그룹은 이른바 ‘핀셋형 개편’을 통해 변화폭을 줄였다. 연말 임원 인사에선 부문장 1명만 교체했다. 대부분 계열사는 올해 초 임종룡 회장이 단행한 인사를 그대로 유지했다. 또 부사장·전무·상무로 나뉘었던 임원 직위체계를 부사장으로 일원화하고 부행장·부행장보를 부행장보로 일원화했다.
하나금융은 기존 계열사 CEO를 대부분 재신임했다. 변화보다는 그룹의 ‘안정’을 추구했다. 하나생명보험(남궁원)과 하나손해보험(배성완),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정해성) 3곳에만 신임 후보를 추천했다. 나머지 7 곳의 계열사 대표는 그대로 자리를 유지했다. 지난해 하나금융은 주요 계열사 CEO를 대거 교체했던 바 있다.
신한금융은 임기가 만료되는 자회사 CEO 9명 모두가 연임에 성공했다. 취임 후 첫 인사를 단행한 진옥동 회장은 “성과와 역량을 검증받은 자회사 CEO를 재신임함으로써 책임경영에 대한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김상태 신한투자증권 대표와 조재민 신한자산운용 대표의 경우 통상적인 1년 임기가 아닌 2년의 임기를 부여받았다.
다만 KB금융은 양종희 회장 취임 후 첫 인사에서 안정보다는 변화에 무게 중심을 더 둔 것으로 해석된다. 이재근 KB국민은행장, 김성현 KB증권 대표, 이창권 KB국민카드 대표 등 주력 계열사 CEO는 자리를 유지했지만 그 외에 6개 계열사 대표는 내부 출신 인사로 모두 교체했다. 전문성을 고려한 ‘세대교체’와 내부 출신 인사를 끌어올리는 ‘안정적 쇄신’,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금융권에서는 부동산PF, 홍콩 발 ELS(주가연계증권) 등 업계에 ‘뇌관’으로 작용할 만한 문제들이 산적해 있는 만큼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변화보다 안정을 택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