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수도(水道) 행정'에 인공지능…2040년까지 스마트 검침 전면 도입
상태바
서울시, '수도(水道) 행정'에 인공지능…2040년까지 스마트 검침 전면 도입
  • 백중현 기자
  • 승인 2024.05.16 12: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계식 수도 계량기, 사물인터넷 등 디지털 기술 적용된 ‘스마트 검침’ 교체 추진
2030년 110만대(약 50%), 2040년까지 전체 교체… 오검침‧민원 등 줄일 수 있어
스마트 검침, ‘이사 정산’ 편리하고 정확하게… 누수 확인‧동파 예방 등에도 효과

 
 
지능형 스마트검침 시스템 개념도. 사진=서울시 제공  
지능형 스마트검침 시스템 개념도. 사진=서울시 제공  

매일일보 = 백중현 기자  |  서울시가 기계식 수도 계량기를 사물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계량기로 교체해 오는 2040년까지 ‘스마트 검침’을 전면 도입한다고 16일 밝혔다. 나아가 실시간 물 사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을 적용해 정확한 수도요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4차산업 기술을 ‘수도(水道) 행정’에 적용, 시민 생활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기계식 수도 계량기’는 사람이 일일이 현장에 방문해 사용량을 확인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육안으로 확인하다 보니 수도 계량기가 위치한 여건 또는 상태에 따라 오검침이 발생하거나 수도 요금 관련 민원․분쟁 등의 우려가 있다.
서울 시내 수도계량기는 2024년 4월 말 현재, 227만 개로 최근 1인 가구가 늘면서 수도계량기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검침원 352명이 1인당 매월 3천 개의 계량기를 방문 검침하고 있다. 수도 요금 관련 민원은 지난해 기준 80만 건으로, 시 다산콜센터에 접수되는 민원 중 ‘교통’ 다음으로 많다. 이중 이사 정산 30만 건, 누수 감면 4만 건 등이 많으며 시내 8개 수도사업소 전화상담 직원 73명, 요금심사 직원 141명이 수도 요금 민원을 담당하고 있다.  시는 내년부터 국내 최초 ‘단말기 일체형 계량기’를 도입할 예정이다. 기존에는 디지털 계량기 설치 후 통신 단말기를 추가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원화되어 있어 전환에 속도를 내는 데 한계가 있었으나 일체형 계량기를 설치하면 스마트 검침으로의 전환에 가속이 붙고, 설치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시는 1단계로 2040년 ‘스마트 검침’ 인프라 구축을 완료하고, 2단계에는 축적된 빅데이터를 활용해 차세대 행정 서비스 개발을 본격화한다. 인공지능으로 각 가정의 물 사용 패턴을 분석해 실시간 이사 정산, 옥내 누수 사전 예방, 정확한 수도 요금심사 및 부과 등 대시민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한영희 서울아리수본부장은 “최근 시가 발표한 인공지능 행정 추진 계획에 발맞춰 4차산업 기술을 ‘수도 행정’에도 선도적으로 도입하고자 한다”며 “수돗물을 사용하는 시민의 편의를 높이고 경제적 부담도 덜어주기 위해 수도 분야 디지털 전환을 착실하게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