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의 서울, ‘오세훈 그림자’는 무조건 외면?
상태바
박원순의 서울, ‘오세훈 그림자’는 무조건 외면?
  • 나태용 기자
  • 승인 2014.07.28 08: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년째 시범운영중인 ‘서울바이크’ 사업 여전히 제자리걸음
시민호응 좋은데도 시범운영 시작한 후 추가설치 단 1곳뿐

▲ (왼쪽부터) 오세훈 전 서울시장, 박원순 현 서울시장. 사진=위키피디아
[매일일보 나태용 기자] 오세훈 전 서울시장 재임시절이던 2010년 11월 여의도와 상암동에서 야심차게 시작됐던 서울시 공공자전거 대여사업 ‘서울 바이크’가 만 3년 반이 넘게 지난 현재까지 제자리걸음만 걷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오 전 시장이 목표로 했던 ‘세련된 도시 서울’이라는 서울시 개발 방향이 박원순 시장 취임이후 ‘사람 중심의 인간 친화적 도시 서울’로 바뀌었다고들 하는데, ‘인간 친화적 도시’ 컨셉에 가장 부합하는 정책이라 할 수 있는 공공바이크 정책이 전임시장의 정책이라는 이유로 외면 받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서울 바이크는 시작 당시 저렴한 가격과 편리함으로 서울시민의 복지와 교통·환경을 개선시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됐고, 실제 시범운영이 시작된 후에는 서울시민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서울시에서 자체조사한 가장 최근의 자료를 보면 2012년 서울 공공자전거 이용수가 38만대로 2011년 19만대에 비해 2배를 넘겼고 올해엔 누적이용수 61만대를 돌파하는 등 시민들의 수요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 좌측에 위치한 키오스크를 이용해 거치된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 여의도 샛강역 스테이션. 사진=나태용 기자

반면 현재 서울시는 영등포구 여의도(26개소)를 비롯한 마포구 상암동 DMC(18개소)에 무인대여소를 총 44곳, 자전거는 380대를 운영 중인데, 이는 서울바이크의 초기 공공자전거 무인대여소 숫자인 43곳보다 1곳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2012년 국회의원회관에 1개의 무인스테이션 증축 이후 한 곳도 늘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시민들의 수요가 많고 반응도 좋은데 추가 무인 대여소가 생기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일단 서울시 측은 ‘운영 적자’를 이유로 제시하고 있다.매일일보 취재 결과, 지난해 서울 바이크의 운영비용은 7억원으로 운영수익인 1억원에 비해 6억원 가량 적자운영을 지속했던 것이 사실이다.서울시는 수익모델 개선을 위해 2011년 12월 중순 ‘비엔에스테크(유로아이티에스)’에 민간 위탁을 맡겨 지난해 5월 말까지 운영했지만 해당 업체는 수익구조 개선에 실패해 문을 닫았고, 현재 서울바이크는 시에서 직접 운영 중이다.
또한 스테이션 한 곳의 추가 설치비용은 6000~7000만원으로 시 당국에서 적자를 감수하지 않는 이상 실질적인 추가를 기대하긴 어렵다는 것이 관련 업계의 관측이다.그러나 ‘운영적자’ 만으로 서울시의 공공바이크 사업에 대한 애매한 태도를 모두 설명하기는 충분하지 않다.유사한 공공자전거 사업을 진행 중인 다른 자치구의 상황을 보면 공공바이크 사업의 목적이 시의 재정수입을 얻기 위한 것보다는 시민복지 차원에서 접근할 이유가 많기 때문이다.대전광역시의 공공자전거 사업 ‘타슈’는 2009년 20개소 200대 규모로 운영을 시작해 대전 시민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2012년 5월에 107개소 800대 규모로 확장, 매년 30개소 500대 추가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타슈 측은 사업운영에 지난해 20억, 올해 23억원이 소요되지만 운영수익은 4억4000만원으로 역시 수익성은 높지 않다고 설명했다.수익성이 높지 않음에도 사업을 매년 확대하는 이유에 대해 타슈 관계자는 “현재까지의 누적이용수는 134만대로 시민들의 호응이 좋다”며 “대전 시민들의 복지를 위해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라고 설명했다.공공바이크 사업이 사실상 관심 밖으로 밀려난 이유에 대한 서울시의 입장은 무엇일까?서울시 자전거정책팀 박병현 팀장은 매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공공자전거 사업 시행이 지지부진한 이유에 서울시장 교체(오세훈-박원순)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서울시장이 바뀐 것과는 관계없다”는 입장을 밝혔다.박 팀장은 타 지방자치의 공공자전거 운영 사업이 수익성과 무관하게 시민복지 차원에서 지원되는 것에 대해서는 “이런 정책은 지방자치단체 따라 많이 다르다”라며 “현재 서울시는 지방과는 여건이 많이 다르다 각각의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판단에 관한 사항”이라고 말했다.박 팀장은 “서울시 공공자전거 사업의 시범운영 기간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시범운영이 끝난 후 본격적인 사업계획을 구성할 예정”이라고 말했다.햇수로 4년째 시범운영 중인 서울 바이크사업이 언제면 시범운영을 끝내고 본사업에 들어갈지 시민의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