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특별기획 ④ 4차 산업혁명, IT가 이끈다] 산학연관 노력과 해법
상태바
[MI특별기획 ④ 4차 산업혁명, IT가 이끈다] 산학연관 노력과 해법
  • 이근우·나기호 기자
  • 승인 2016.10.06 14:11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재 역량 강화 및 일자리 발굴 중요성 인지
정부 R&D 투자·지원책 강화…인프라 조성 및 채널 홍보
지난 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슈밥 WEF 회장이 4차 산업혁명 중심 주제를 설명하는 모습. 사진=pixabay
[매일일보 이근우·나기호 기자]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일자리 구조 변화와 전망이 우려되는 가운데 향후 인재 역량을 강화하고 정부의 투자 및 지원책 기대가 높아질 전망이다.지난 1월 2016 다보스 포럼에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오는 2020년까지 총 71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200만개가 창출되어 510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한다. 특히, 사무-행정은 475만9000명이 가장 큰 감소를 하고, 이어 제조-생산직 160만9000명이 감소할 예정이다.
또한, 급부상할 직업군으로 '데이터 분석가', '컴퓨터-수학관련 직업', 건축-엔지니어링 등 인재 역량 강화 및 일자리 발굴 중요성을 인지해야 다가올 4차 산업 시대가 전반적인 성장률이 나타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4차 산업은 전문 분야를 고용에 높이 평가할 예정이다. 이는 ICT, 전문서비스(PS), 미디어(MEI) 등 각종 디바이스 기기와 인터넷, 증강현실(AR), 클라우딩 기술, 사물인터넷(IoT)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더불어 고용은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인재 수용을 위한 공급 경로 확보 경쟁이 치열해져 연령층을 막론하고 다가올 4차 산업혁명의 노력과 해법이 시급한 시기다.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프로그래밍, IoT 등 감성과 기술이 동반된 수요가 높아지고 협업과 다양한 직무 기술을 요구하기 때문에 정부 및 기업은 빠른 변화 속 기술습득과 역량을 개발하는 투자와 지원책을 강화해야 한다.AI 및 자동화 노동이 대체 직무가 가능해질 것을 우려해 다양한 직업군이 소멸 및 실업이 증가한다는 예측이 지배적인 반면 지능정보기술의 보완과 진전은 오히려 생산량, 수요, 공급 진화로 이어져 큰 변화 없는 노동시장으로 이어진다고 보는 의견도 팽팽한 상황이다.혁신과 혁신이 결합 될 4차 산업혁명은 단순 데이터를 추출·분석·기술로 전향하는 범위를 넘어 문제 인식과 모델을 찾아내는 중요한 혁신이다.사회가 요구하는 인적자본 공급, 환경 구축, 기술과 인간 노동의 보완-대체 등 적절한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는 산업 전반의 기술과 노동시장 변화에 성공적인 균형으로 평가된다.업계 관계자는 “다가올 플랫폼 경쟁시대에 협업을 지양하고 인재 활용을 위한 민·관 및 기업 간 파트너십이 필요하다”며, “정부와 기업도 산업 수용에 대응하기 위한 유연한 직무역량 강화 체제를 구축해 미래 시스템에 장기적 계획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희석 2017-10-07 22:04:47
지양이 아니라 지향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