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김백선·박주선 기자] 국내 방산업계가 글로벌 시장 경쟁을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각 업체마다 연구·개발(R&D)등에 집중하며 굵직한 사업을 잇달아 수주하고 있는 것. 특히 최근 대형 인수합병(M&A)과 방산 계열사 간 사업 조정을 단행한 한화그룹은 글로벌 톱 10 종합방산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방침이다.국방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국내 방산업체 매출 총액은 전년 대비 11.7% 급증한 11조3645억원까지 불어날 전망이다. 오는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14.3%, 10.2%로 두 자릿수 성장을 계속할 것으로 관측된다.한화그룹은 최근 분산돼 있던 방산기업의 사업영역을 조정했다. 각 사업의 경쟁력 강화와 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해 나선 것. 이에 따라 한화그룹 방산 계열4개사인 ㈜한화는 정밀타계, 한화테크윈은 화력·무인체계, 한화시스템은 방산전자, 한화디펜스는 지상장비체계 전문기업으로 탈바꿈한다.한화그룹 관계자는 “이번 사업 조정으로 방위산업 경쟁력을 이른 시일 안에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화그룹은 각 사업영역 조정을 내년까지 완료해 각 사의 글로벌 사업 경쟁력 강화를 가속화 한다는 방침이다.한화그룹의 이 같은 행보는 앞서 진행했던 방산 관련 M&A 후속조치들과도 겹치며 혁신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끌어올리고 있다.앞서 한화그룹은 지난해 삼성과 빅딜을 통해 한화테크윈(삼성테크윈)과 한화탈레스(삼성탈레스)를 인수한데 이어, 올해 5월에는 한화디펜스(두산DST)를 인수해 방산·방위사업을 확대했다.기존의 탄약·정밀유도무기 중심에서 자주포 및 항공기·함정용 엔진과 레이더 등의 방산전자 부문까지 방산사업 영역을 확대해 글로벌 종합 방산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성장기반을 마련해나가고 있는 것.특히 한화그룹은 내수시장에서 경쟁하던 체제에서 벗어나 글로벌 방산기업들처럼 대형화와 집중화 등을 통해 연구개발-생산-후속 군수지원 등을 일관성 있게 관리하는 체계를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화그룹과 함께 토종 3대 방산업체로 불리는 LIG넥스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도 글로벌 시장 경쟁을 위한 걸음을 재촉하고 있다.LIG넥스원은 올해 5월 대전 R&D센터 착공에 들어갔다. 1200억원을 투자한 해당 센터는 정밀 유도무기와 인공위성 등 우주항공 분야에 특화된 전담 연구소로 내년 상반기 완공된다.올 7월에는 첨단무기 구성품 개발 및 수출, 대형 양산사업에 필요한 주요 생산시설 구축을 위해 오는 2023년까지 김천2공장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지난달 국방과학연구소와 휴대용 지대공유도무기 신궁의 ‘한국형 탐색기’ 개발을 마치고 매출 증가를 꾀하고 있다.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해 12월 토종 항공기 설계를 담당하는 항공기개발센터를 경남 사천에 세웠다. 이곳에서 한국형 전투기는 물론 개인용 자동차 겸 비행기(PAV)와 스텔스 기능을 갖춘 한국형 무인전투기(KUCAV) 개발도 비공개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또한 국방과학연구소(ADD),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6년간 공동 개발한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의 2차 양산 사업을 진행중 이다. 내년부터 양산예정인 상륙기동헬기는 7000~8000억원의 수주 실적을 올릴 것으로 기대된다.다만, 뿌리 깊은 방산비리는 여전히 업계의 발목을 잡고 있고 원가 제도, 최저가 낙찰 제도 등 일부 불합리한 제도 개선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다.실제로 한국 방산 수출은 지난 2011~2014년 방산 수출 증가율이 연평균 11.6%를 기록했지만 2014년 하반기 검찰의 방산비리 수사가 본격화되면서 수출은 급격히 위축됐다.방산전문가들은 정부가 일관성 있는 방산 육성정책과 전략적 지원으로 방산업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키워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최저가입찰제도의 경우, 방산업체들이 가격 경쟁에만 매달리다 보니 저가 불량 부품을 조달해 쓰는 등 방산 부실이 발생한다는 지적이다.방산업계 관계자는 ”방산·방위사업 특성상 국내 시장 수요자는 정부가 유일하다”며 “정부 주도의 사업이다 보니 성장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 이에 따른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또한 “글로벌 시장에서 수요가 많은 첨단무기 분야의 핵심기술 확보에 적극 나서는 동시에 최저가입찰제도를 비롯한 각종 규제 개선과 방산비리와 같은 부조리를 없애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