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제주4·3- 70주년 기념 특별 사진전 개최
상태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제주4·3- 70주년 기념 특별 사진전 개최
  • 김종혁 기자
  • 승인 2018.05.16 07: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매일일보 김종혁 기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관장 주진오)은 5월 16일 부터 '제주4·3 70주년 기념 특별 사진전 <세계자연유산 제주, 그 아름다움 너머>' 전시를 박물관 1층 부출입구 회랑 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 사진전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주4·3, 이젠 우리의 역사」 특별전 연계 행사로 기획됐다.이번 사진전은 아름답고 평화롭게만 보이는 섬, 제주의 뒷모습에 담겨 있는 아픈 상처를 공감하고 그 이야기에 귀 기울여 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기획됐고 관련 사진 32점이 전시된다.

세계자연유산 제주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와 함께 여는 이번 사진전에는 제주의 대표적인 풍경이자 제주 곳곳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푸른 바다와 해변, 오름, 돌담, 아름드리 팽나무 뿐만 아니라 성산일출봉, 정방폭포, 천제연폭포 등 유명 관광지도 살펴볼 수 있다.제주도는 2007년 우리나라 최초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다.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함께 육지와는 다른 독특한 문화를 안고 있는 제주도는 연간 1,500만 명이 방문하는 국제적인 관광지다. 최근에는 해마다 15,000명 이상이 아름다운 경치와 쾌적한 생활을 누리기 위해 제주로 이주해 오고 있다.

제주 4·3, 가슴에 남은 상처, 땅에 남은 흔적

하지만 제주의 그 아름다움 너머에는 제주 사람들의 아픔이 서려 있다.  아름다운 제주의 자연 중 많은 곳이 4·3 당시 집단 학살이 이루어졌던 곳이거나 주민들의 희생지였다. 제주의 푸른 바다와 해변이 그러했으며 사람들이 어우러져 살던 마을, 지금은 아름드리 팽나무와 무너진 돌담만을 흔적으로 남긴 ‘잃어버린 마을’이 그러한 곳이었다.
백조일손(百祖一孫)지묘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제주민예총, 2013)      1950년 8월 20일 송악산 섯알오름 탄약고 터에서 학살된 모슬포경찰서 관내 주민 132명의 시신이 집단으로 모셔져 있는 곳이다. 당시 유족들은 6년 간 시신 인도를 강력히 거부하던 군 당국과 가까스로 타협을 본 후 흙탕물 속에 뒤엉킨 시신을 수습하기 위해 양수기까지 동원하는 등 많은 고생을 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수습한 시신은 구별이 어려워 ‘百祖一孫’(서로 다른 132분의 조상들이 한날, 한시, 한곳에서 죽어 뼈가 엉켜 하나가 되었으니 그 후손들은 이제 모두 한 자손이다)이라 정했다.
4·3과 관련된 유적지로는 ‘잃어버린 마을’과 4·3 성터, 은신처, 학살터, 수용소, 주둔지, 희생자 집단묘지, 비석 등이 있다. ‘잃어버린 마을’은 1948년 11월 이후 중산간 마을이 토벌대에 의해 초토화되면서 주민들이 마을을 떠난 후 현재까지 복구되지 않은 마을을 말한다. 
정방폭포 (서귀포시 동홍동, 제주민예총, 1997)      정방폭포 상단과 이어지는 소남머리에서는 서귀면 일대의 주민뿐만 아니라 남원면 의귀, 수망, 한남리 주민과 중문면, 멀리 안덕면 동광리 주민 등 산남지역 전체에 이를 정도로 많은 주민 희생이 있었다. 중산간지대 초토화 작전 이후 야산을 헤매던 피난민들이 붙잡히면 이 곳 군부대에서 취조당하고 처형됐다. 특히 당시 대동청년단원들로 하여금 창으로 찔러 죽이라고 하는 등 학살은 광기를 띠고 있었다.
2003~2004년 발간된 『제주4·3유적』 Ⅰ,Ⅱ에 의하면 ‘잃어버린 마을’은 108개 마을, 4·3 성터 65개소, 은신처 35개소, 학살터 153개소, 수용소 18개소, 주둔지 83개소, 희생자 집단묘지 6개소, 비석 41개소에 달한다. 곧 제주도 전역이 4·3이 남겨 놓은 땅의 흔적이라는 의미이다.

제주의 아름다움 그 너머에 담긴 아픔 공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주진오 관장은 “제주4·3 특별전과 이번 사진전을 통해 많은 관람객들이 제주4·3의 역사를 이해하고, 평화와 인권의 보편적 가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새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성산일출봉 우뭇개동산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 제주민예총, 1997)    해방이 되자 일본군들이 버리고 간 다이너마이트가 주민들의 고기잡이용으로 많이 사용됐다. 그러던 중 4·3이 발발하자 1948년 겨울철부터는 마을마다 민보단 등을 꾸려 자체 경비를 강화하면서 이것을 경비용으로 준비하여 마을 초소마다 보관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것이 빌미가 되어 오조리 주민 30여 명이 희생당하는 일이 벌어졌다.
 제주4·3 70주년을 맞아 4·3사건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과 참여도 크게 늘었다. 박물관에서는 3월말에 개막한 「제주4·3, 이젠 우리의 역사」 특별전의 관람객 수가 현재까지 5만여 명을 훌쩍 넘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관람객 추이를 반영해 지금 열리고 있는 특별전도 사진전 폐막일인 오는 7월 3일까지 연장할 예정이다.<자료사진출처: 제주민예총,대한민국역사박물관>  


좌우명 : 아무리 얇게 저며도 양면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