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세종대왕의 애민정신 담긴 해시계 ‘앙부일구’ 전시
상태바
문화재청, 세종대왕의 애민정신 담긴 해시계 ‘앙부일구’ 전시
  • 김종혁 기자
  • 승인 2020.05.06 09: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종대왕유적관리소,'조선시대 해시계와 앙부일구'전시 개최 /5.6.~6.28
[매일일보 김종혁 기자]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세종대왕유적관리소는  5월 6일부터 6월 28일까지 세종대왕역사문화관에서<조선시대 해시계와 앙부일구>전시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절기(節氣)와 시간을 동시에 알 수 있는 해시계이자 세종대왕의 자랑스러운 과학 문화재인 앙부일구를 관람객들에게 소개한다. 전시는 총 3부로, 1부는 <평면 해시계의 역사>, 2부는 <앙부일구의 역사와 구조>, 3부는 <조선후기 휴대용 앙부일구의 제작자들>로 구성됐다.
1부, <평면 해시계의 역사>에서는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후 가장 먼저 사용된 평면 해시계에 대한 소개글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해시계인 6~7세기경의 신라 시대 해시계 ‘잔편(殘片)’, 조선 시대 사용한 휴대용 평면 해시계를 전시하고 있다.
앙부일구(仰釜日晷)사진=문화재청 제공
2부, <앙부일구의 역사와 구조>에서는 ‘솥뚜껑을 뒤집어 놓은 듯한 모습을 한 해시계’라는 뜻의 앙부일구(仰釜日晷)를 선보인다. 세종대왕은 우리나라 최초의 공중(公衆) 해시계인 앙부일구를 만들어 백성들이 시간을 읽을 수 있도록 종묘와 혜정교(惠政橋, 지금의 서울 종로1가)에 설치했다. 세종대왕 때 제작된 앙부일구는 남아 있지 않아 전시장에서는 17세기 이후에 제작된 앙부일구(보물 제845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복제품을 공개한다.  3부, <조선후기 휴대용 앙부일구의 제작자들>에서는 조선 후기 해시계로 대표적인 휴대용 앙부일구가 전시된다. 강윤(姜潤, 1830~1898)과 동생 강건(姜湕, 1843~1909)은 조선 후기 해시계 제작 가문으로 유명한데, 강건의 두 아들인 강익수(姜益秀,1871~1908)와 강문수(姜文秀, 1878~1931) 또한, 가문의 시계 제작 전통을 이어 나갔다.
조선시대 후기 상아제 휴대용 앙부일구. 사진=문화재청 제공
이번 전시에 출품된 <상아제 휴대용 앙부일구>(세종대왕역사문화관 소장)는 강익수가 만든 것이고, <앙부일구>(서울역사박물관)는 강문수가 제작한 것이다. 전통사회에서 시계제작은 주로 중인 신분이 하는 데 반해, 이들 집안처럼 고위층 양반 가문에서 제작을 주도한 점이 특별하다.
조선 시대에 사용한 휴대용 평면 해시계. 사진=문화재청 제공
앙부일구 뒷면 사진=문화재청 제공
 이번 <조선시대 해시계와 앙부일구>전시는  4월 28일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라 5월 6일로 개최를 변경하게 됐다. 세종대왕유적관리소는 세종대왕역사문화관 관람재개 이후 첫 전시인 <조선시대 해시계와 앙부일구>의 안전한 관람을 위해 관람객 마스크 착용, 앞사람과 2m 이상 거리 유지, 전시실 내부 한 방향 관람, 영상실 미운영 등 정부 지침에 따른 안전수칙을 관람객에게 안내할 계획이다.


좌우명 : 아무리 얇게 저며도 양면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