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진 가평군 마을공동체 전문위원
[매일일보 기자] 가평군 상면 원흥리 행복마을관리소가 지난 7일 개소를 하고 활동을 시작했다. 경기행복마을관리소 사업은 주야간 10명 이내의 지킴이와 사무원이 말 그대로 행복한 마을을 만들기 위한 가능한 모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마을 청소, 경관 조성, 방범방역 활동, 집수리 및 도시락 배달 등 다양한 취약계층 지원 활동, 등하교 및 안심귀가 서비스, 교육프로그램 운영, 문화예술 활동 및 축제 추진, 공동 소득 활동 등 참여한 마을 주민들의 의지와 역량만 있다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사업이다.
마을 일꾼 열 명이 상시적으로 마을 구석구석을 찾아다니거나 한 곳에 모여 마을 행복을 위해 일한다면 그 마을이 어떻게 변하겠는가? 상상만 해도 행복한 미소가 지어진다.
경기도와 사업희망 기초지자체는 이 사업을 위해 관리소 공간조성비, 10명의 인건비, 운영비 등 연 약 3억 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혹자는 이런 일들은 마을 사람들이 무료로 봉사를 해야 보람이 있는 것이지 왜 나라 예산을 쓰냐고 할 수도 있다. 공동체 정신이 없는 걸 나랏돈을 준다고 없던 공동체성이 생기냐고 비판을 할 수도 있다.
필자는 가평군에서 주민주도의 마을만들기 사업을 지원하는 일을 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예전에는 마을 주민들이 협력도 잘하고 공동체성이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졌다” 하며 아쉬워하는 주민들을 만나곤 한다.
생각을 해봤다. ‘예전 사람들은 착했고, 지금 사람들은 악해진 건가?’ ‘외지인들이 들어와 살면서 마을공동체 문화가 깨진 건가?’ 정말 그런 건가? 필자의 답은 “아니다”이다.
그러면 왜 그런가? 예전 사람들은 한 마을에 살았을 뿐만 아니라, 직장이 같고, 직업이 같고, 그래서 쉬는 때와 먹는 때도 같았다. 즉 논, 밭(직장)에서 같이 일하니 직업은 다 같이 농업이었고, 그러니 바쁠 때(농번기)와 놀 때(농한기)가 같았다. 이렇게 늘 공동으로 시간을 보내니 자연스럽게 공동체 문화가 생기는 것이다.
인성이 착해서 공동체 문화가 있었던 것이 아니라는 얘기다. 공동체적인 삶을 사니까 당연히 공동체 문화가 있었던 것이다.
지금은 어떤가? 직장이 다르니, 직업도 다르고, 일하는 시간도 다르니, 쉬는 시간도 다르다. 농업만으로 생업이 보장되질 않으니 날품팔이 이 일 저 일 안할 도리가 없다. 주민들끼리 얼굴 보기도 힘들고 마을에서 회의 한 번 같이 하기는 더더욱 힘든데 어떻게 공동체성이 생기겠는가? 인성이 나빠져서 공동체 문화가 사라진 것이 아니라는 얘기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담당업무 : 경기동부권 취재본부장
좌우명 : 늘 깨어있자~!
좌우명 : 늘 깨어있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