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올 여름 골드만삭스는 유럽 그린딜(European Green Deal) 관련 테마주 20 종목을 추천했다. 그린딜은 EU집행위원회가 작년에 발표한 정책으로 2050년에 탄소 순배출량을 제로로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2030년 탄소배출 감축량을 1990년 대비 기존 40%에서 50~55%로 상향조정한 것이다. 골드만삭스가 추천한 업체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기존의 업을 잘하고 있는 곳들도 있지만 변신에 성공한 기업도 눈에 띈다. 특히 덴마크의 외르스테드(Orsted)라는 회사가 그렇다. 이 회사는 원래 북해에서 석유와 천연가스를 생산하던 덴마크의 최대 석유기업이었다. 사명 자체가 DONG Energy. Danish Oil & Natural Gas의 약자를 따서 지었다. 하지만 친환경 에너지로 무게중심을 옮기면서 2017년 석유 사업부문을 모두 매각하고, 친환경 해상풍력 발전에 집중했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으라는 말처럼 사명도 덴마크를 대표하는 과학자 이름을 차용해 전격적으로 변경했다. 2016년 270크로네(약 5만원) 안팎이던 이 회사 주가는 최근엔 3배 이상 오른 약 950크로네에 거래되고 있다.
운용자산 7조 3000억 달러(약 8200조원)로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로 꼽히는 BlackRock의 필립 힐데브란트 부회장은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트렌드를 얼마나 빠르게 받아들이고 활용하는지가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승자가 되는데 핵심조건이 될 것이며 ESG 관련 ETF(상장지수펀드) 인덱스에 포함되는지가 향후 기업가치를 좌우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 회사의 래리 핑크 CEO는 올해 초 고객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Annual Letter)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에 대해 경고하면서, “BlackRock의 모든 투자 팀은 투자 과정에서 ESG 요소를 고려하고 통합하는 방법을 명확히 했다. 2020년 말까지 모든 포트폴리오 및 자문 전략은 ESG에 완전히 통합될 것이며, 전체 수익 중 석탄 관련 비중이 25%를 차지하는 기업은 투자 대상에서 제외할 방침”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한 때 사회공헌활동으로 오해를 받기도 했던 ESG 경영으로 산업의 축이 이동하고 있다. 이는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현실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최근에는 기업의 자율적 ESG 활동을 권고하던 단계에서 ESG 성과관리를 규제하기 위한 국가별 법안도 만들어지고 있다. 그중 정보공개에 대한 제도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은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을 보유한 기업의 ESG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비재무 정보공개를 포괄하는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입법 대기 중이다.
SK이노베이션이 2030년까지 환경긍정영향이 부정영향을 넘어서도록 사업구조를 혁신하겠다는 ‘Green Balance 2030’을 발표하고 이에 따른 한 걸음 한 걸음을 내딛는 것은 이러한 변화의 물결 속에서 어쩌면 숙명과도 같은 일이다.
블룸버그는 최근 기사에서 기업들이 투자자로부터 선택 받기 위해서라도 ESG 친화경영을 추진할 것이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부터 나이키, 메르세데스-벤츠에 이르기까지 업종을 막론하고 잇따라 탄소 배출 Zero 계획을 내놓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고 평가한다.
ESG를 기업의 위협요인으로 보는 순간 ESG라는 변화의 물결에서 낙오되고 만다. 오히려 ESG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해 회사의 경쟁력을 입증해 냄으로써 Financial Discount를 해소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올해 SK이노베이션은 ESG에 대한 회사 수준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ESG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고 본격적으로 각 영역별 개선과제를 설정해 놓고 있다. ESG 경영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고 있는 기업들에 대한 분석작업 등을 통해 수준을 한 단계 끌어 올릴 계획이다. 아울러 투자자, 시장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Green Balance 2030 등 회사의 진정성 있는 노력이 전달하는 동시에, 이러한 노력들이 ESG 평가에 온전히 반영될 수 있도록 대응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2020년, ESG가 스테로이드를 맞은 듯 폭증하고 있다”라고 논평한다. 여기에 한 문장을 덧붙인다면 “올해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그럴 것이며 ESG 경영으로 파이낸셜 스토리를 만들어가는 기업들에게 기회가 열릴 것”이 아닐까 싶다.
*본 글은 지난 16일 SK이노베이션 사내 채널 SKinno News에 실린 기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