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시 관치금융… '퍼주기' 민생대책 들러리 된 금융권
상태바
또 다시 관치금융… '퍼주기' 민생대책 들러리 된 금융권
  • 이광표 기자
  • 승인 2022.07.21 15: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당국 "금융지원 대책 중 빠진 부분 금융사가 답 줘야"
'자율' 내세웠지만 취약차주 리스크는 결국 금융권 몫
21일 열린 김주현 금융위원장(가운데)과 금융지주 회장단 간담회에서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참석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21일 열린 김주현 금융위원장(가운데)과 금융지주 회장단 간담회에서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참석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이광표 기자] "취약층에 대한 정부의 금융지원 대책 중 빠진 부분에 대해선 금융사가 답을 줘야 한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지난 14일 열린 금융부문 민생안정 과제 추진현황 기자간담회 중 나온 발언이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금융권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이자장사'에 대한 경고 뿐 아니라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취약차주의 리스크도 은행들이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정부가 표면적으론 ‘자율’을 내세우고 있지만 취약차주에 대한 채무 부담을 금융권에 떠넘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른바 '관치금융'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서라도 정부가 무턱대고 금융사에 책임을 전가할 것이 아니라, 정밀하게 기준을 세우고 정책을 가다듬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금융당국은 정부의 취약계층 금융지원으로 금융권도 일부 혜택을 본다고 일축했지만 리스크에 대한 우려는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일단 오는 9월 말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가 종료되면 시중은행들은 직접 부채 부실화를 막아야 하는 처지다.

금융위는 현재 100조원 규모의 부채가 취약차주 혹은 취약 우려 차주의 몫이라 추산한다. 이중 30조원은 '새출발기금'을 조성해 은행들로부터 부실채권을 매입한 뒤, 원금을 탕감해주거나 장기·분할상환, 이자 감면 조치를 내릴 계획이다. 
남은 70조원은 은행들 몫이다. 금융당국은 시중은행들이 정부 정책과 같은 수준으로 직접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지원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은행도 기금과 동등한 수준으로 최대 20년 장기·분할 상환 등 혜택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으로 흘러가고 있다.

앞서 금융위는 지난 14일 '금융부문 민생안정 추진과제 및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도덕적 해이(모럴해저드) 논란 뿐 아니라 퍼주기 정책이라는 비판이 강하게 제기됐다. 120조원이 넘는 금융지원 정책중 문제가 되는 부분은 소상공인과 개인 채무지원과정에서 원금을 일부 탕감해 준다는 내용이다. 금융당국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빌린 부채 규모가 너무 크다는 판단 아래 30조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입해 채무조정에 나서기로 했는데, 연체가 90일 이상 발생한 부실차주는 최대 90%의 원금을 감면해주는 방안을 담았다. 또 저신용 청년 채무 이자부담을 최대 50% 경감하고 연체 이자는 감면하는 등 '빚투(빚내서 투자)족' 지원 방안도 마련했다. 일각에선 무리한 투자로 손실본 금액에 대해서도 탕감해준다는 것이어서 성실히 빚을 갚아온 사람들과의 형평성 논란이 제기됐다. 이같은 상황에서 금융 지원 정책이 논란에 불을 붙인 셈이다.
정부 정책에 대한 반발이 커지자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직접 나서며 원금 일부 탕감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나섰다. 다만 이같은 퍼주기 정책 논란은 곧바로 금융권의 리스크 확대로 이어질 전망이다. 금융사들은 그동안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한 저금리시기에 대출자산을 빠르게 늘렸고, 작년 하반기부터는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역대 최고 수준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이자수익에만 집중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에 직면했던 게 사실이다. 윤석열 정부도 출범 후 은행들에게 "지나친 이자장사에 대한 비판이 크다"고 경고했고, 금리공시 제도개선을 통해 은행들을 압박했다. 금융권 입장에선 시장 경제를 강조하며 출범한 윤석열 정부인만큼 기대가 컸지만 정반대의 상황이 펼쳐지고 있는 형국이다. 여기에 금융 지원책중 상당 부분을 은행들이 떠안아야 한다는 점에서 부담이 더 커졌다. 금융당국은 민간 금융사 참여를 유도해 오는 9월 코로나19 금융지원(만기연장‧이자상환유예 등)이 종료돼도 주거래 금융기관이 책임과를 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만기가 종료되는 대출 가운데 90~95% 가량은 지원 조치를 추가하도록 하겠다는 의미다. 은행권에선 금융지원 종료 시점에 자체적으로 차주들에 대한 재신용평가 등을 통해 만기 연장이나 채무상환 조정 등을 결정해야 하지만 금융당국이 직접 나서 90~95%라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이에 대해 김주현 위원장은 "취약계층뿐 아니라 일반 계층에 대해서도 부담을 줄이는 조치가 있어 금융기관들이 혜택을 보는 부분도 있다"며 "금융권과 대화를 통해 풀어나갈 것"이라고 해명했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그동안 코로나 금융지원으로 은행들의 대출자산이 급격히 늘어나는 등 수혜를 본 부분이 있어 정부 압박이 어쩔 수 없는 부분은 있다"면서도 "하지만 금리에 이어 금융지원까지 압박 강도가 갈수록 세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