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이광표 기자] 한국은행이 사상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p)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하면서 이자폭탄이 현실화 되고 있다. 폭탄을 떠 안을 대상은 변동금리 차주들이다.
국내 대출 차주 대부분이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맞게 될 변동금리 계약을 맺고 있어서 차주들의 이자 상환 부담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가운데 신규 취급 변동금리 비중은 82.6%로 집계됐다. 2014년 1월 이후 최고치다. 변동금리 비중은 지난해 1월 76.3%를 기록한 뒤 5월까지 지속 확대됐다. 잔액 기준으로도 77.7%를 기록 80%에 육박한 수준이다. 2014년 3월 이후 8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며, 2년 넘게 그 비중이 증가해왔다.
통계를 그대로 해석하면 10명 중 8명은 기준금리가 오르면 곧바로 직격탄을 맞는다는 뜻이다. 기준금리가 높아지면 은행 등 금융기관의 자금 조달 비용이 늘어나, 결국 소비자에게 적용하는 대출금리도 동반 상승한다.
선진국 대비 한국의 가계빚이 빠르게 불어나는 것도 염려스러운 대목이다. 우리경제는 코로나19 이후 지난 2년 간 제로금리 속에 가계부채 규모를 대폭 키웠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 가계신용(부채)은 1859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 늘었다.
또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6.6%로 최근 5년간 19.3%p 높아졌다. 41개국 중 홍콩(+25.5%p)을 빼면 상승폭이 가장 크다. 이 외 미국 78.0%, 일본 67.6%. 프랑스 67.1%, 독일 57.3% 등 순이다.
은행권 대출 금리는 이미 고공행진 중이다. 지난 16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의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는 연 6.123%, 변동형 금리는 연 6.218%로 집계됐다. 지난해 주담대 금리는 연 4% 수준이었지만, 기준금리가 본격적으로 오르자 올해 3월 6%를 돌파했다. 신용대출의 경우 금리 상단이 6.230%로 지난달보다 금리 상단이 0.350%p가 올랐다.
이같은 추세면 연말 기준금리가 3.00%에 도달 시 대출금리는 7%를 넘어 8%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대출금리가 7%를 넘으면 차주들의 이자 부담은 감당이 어려운 상황으로 내몰릴 거란 우려가 나온다.
30년 원리금균등분할 방식으로 3억원을 연 4% 금리로 빌리면 대출 초기 월 이자는 100만원 수준이다. 그러나 같은 조건에서 금리가 연 7%로 뛰면 월 이자는 178만원까지 늘어난다. 금리가 8%로 뛰면 월 이자는 200만원까지 치솟는다.
금융당국도 경계심을 높이는 중이다. 금융감독원이 최근 금리 상승이 가계대출 차주 상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계 대출 평균 금리가 7%에 이를 경우 소득에서 최저 생계비를 빼면 대출 원리금도 못 갚는 사람이 190만명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