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PF 87.5%…투기등급 또는 신용등급 없어
올 3월 말 일반주택‧상가 등 비 아파트 비율 84.5%
[매일일보 김경렬 기자] 레고랜드 사태로 시작된 단기 자금시장 불안이 가속화하고 있다. 금리 인상이 계속되면서 저축은행, 증권사들의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PF 대출을 내어준 사업장의 건설사가 휘청대고 있기 때문이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잔액은 지난 6월 말 기준 10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2017년 말(4조2000억원)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문제는 비아파트 비율이 높다는 거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저축은행 PF 대출은 난 3월 말 기준 비아파트(일반주택·상가) 비율이 84.5%를 기록했다. 증권(75%), 여신전문금융회사(66.5%), 보험사(42.2%), 은행(31.3%) 등 보다 높은 수치다.
저축은행 PF 사업을 담당하는 건설사 중 87.5%가 신용 등급이 투기 등급이거나 아예 등급이 없는 저신용 대출인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비 아파트 비중은 지난 2010년 말 48.9% 대비 껑충 뛰었다. 2011년 저축은행 부실 사태 이후 규제가 강화되면서 보인 변화다. 저축은행은 사업장에 빌려줄 수 있는 금액이 자기자본의 20%, 최대 120억원을 넘지 못한다. 그간 대규모 PF에 참여하기 어려웠고, 규모가 작은 곳에 주로 참여했다는 얘기다.
다만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컨소시엄 안에 들어가서 금액 제공만 한 경우가 많고 큰 금액을 투입하지 못했다. 저축은행 사태 때문에 당국의 관리 감독이 삼엄했기 때문이다”며 “건설사가 중간에 껴서 평가를 받았고, 건설사에 PF를 직접 내어주는 것은 없다. 돈을 못받는 펀딩에도 들어가지 않았다. 수익률은 낮아졌지만 법률에 저축되는 일정 퍼센트(%)를 넘는 투자는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실제로 아직까지 저축은행 PF 대출 부실 징후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지난 6월 말 기준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1.8%를 기록했다. 2017년 말(7.6%) 대비 4분의 1 수준이다.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 비율 역시 1.8%다.
한국기업평가는 13개 저축은행의 PF 사업장(공정률·분양률 저조 등으로 부실 우려가 있는 사업장 224곳 대상)의 부실 위험이 현실화하면 고정이하여신은 작년 말(1.2%) 대비 10배 이상인 16.1%로 오를 수 있다고 집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