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적금 중도해지자 30만1000여명, 해지율 10.5%
단기저축 선호하는 청년층 행태 반영한 실질적 대책 필요
[매일일보 이보라 기자] 연 9%대 정책금융상품인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10% 이상이 중도 해지했다. 고금리와 고물가로 청년층의 빚이 크게 증가한 데다 단기저축상품을 선호하는 현상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3일 서민금융진흥원에 따르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수는 지난해 3월 286만명에서 지난해 9월 말 256만7000명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희망적금은 지난해 2월 출시했을 때 예상 규모(38만명)보다 7배가 넘는 청년들이 가입하면서 높은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7개월 만에 30만1000명(10.5%)이 이탈한 것이다. 평균 납입 금액은 가입 초 매월 38만4000원에서 지난해 9월 말 41만6000원으로 소폭 늘었다.
청년희망적금은 총급여 3600만원(종합소득 금액 2600만원) 이하인 만 19~34세 청년이 가입할 수 있는 2년 만기 자유적립식 적금으로 월 최대 50만원까지 납입 가능한 상품이다.
청년희망적금 가입자가 대거 이탈한 이유는 최근 20~30대 청년층의 경제 상황이 크게 악화한 탓이다.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발표한 ‘가계금융복지 조사’에 따르면 올해 3월말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9170만원으로 전년(8801만원) 보다 4.2% 늘었다. 연령별 가구주의 부채 증감률(명목)에 따르면 20대 가구주의 평균 부채는 지난해 1분기 기준 5014만원으로 전년 대비 41.2% 증가했다. 30대 가구주의 평균 부채도 1억1307만원으로 전년 대비 1.1% 늘어났다.
또한 만기가 길어 최근 청년들의 생애주기나 금융 트렌드와도 맞지 않는다는 분석이 나온다. 장기저축상품에 가입한 경험이 적은 청년들은 중도 해지·인출 가능성이 크다. 백종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청년층은 결혼, 주택마련 등 자금 소요 요인이 불시에 발생할 수 있는 연령대”라고 지적했다. 백 연구위원은 “사업 시행이 6년이 넘은 내일채움공제도 2년 유지율이 60% 전후에 그치며 3년형 제도는 폐지됐다”고 덧붙였다.
오는 6월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금융당국은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할 계획이다. ‘청년도약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를 대상으로 한 적금이다. 월 70만원을 5년간 납입하면 만기 시 5000만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다.
다만 취지에 맞게 운영하려면 정책금융상품을 출시할 때 현실적인 여건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백 연구위원은 “정부 지원금을 매칭하는 단순한 상품구조는 시장 트렌드와 청년층 저축 행태 등을 감안할 때 실질적 대책으로 부족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