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통신 3사, 오픈랜 R&D 경쟁...글로벌 생태계 키운다
글로벌 연합체 '오랜 얼라이언스' 참여…기술협력 박차 오픈랜 시장 연평균 64.4% 성장…2028년 29조로 예측
2023-03-29 신지하 기자
매일일보 = 신지하 기자 |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오픈랜(개방형 무선 접속망)' 생태계 활성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오픈랜은 기지국 등 이동통신 장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 장비 간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해 서로 다른 제조사의 장비가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통신사들은 오픈랜을 통해 통신장비의 선택지를 넓힐 수 있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오픈랜은 네트워크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통신장비의 파편화를 방지하기 위해 통신 사업자를 중심으로 논의가 시작됐다. 지난 2018년 2월 AT&T, 차이나모바일, 도이치텔레콤, NTT도코모, 오렌지 등 5개 사업자를 중심으로 시작된 '오랜 얼라이언스(O-RAN Alliance)'는 현재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를 비롯해 국내외 이동통신 사업자와 장비제조사, 연구기관 등 300여개 회원사가 참여하는 단체로 성장했다. 통신 서비스는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휴대폰·노트북 등 기기를 통신사업자의 기지국과 연결하는 '무선접속망(RAN)'을 통해 코어망에 접속하는 등 과정으로 이뤄진다.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지금까지 기지국 장비 내부 인터페이스가 개방되지 않아 동일한 장비 제조사의 장비로만 RAN을 구성했다. 오픈랜은 동일한 장비 제조사의 하드웨어(HW)·소프트웨어(SW)를 활용해서만 운영됐던 RAN을 각기 다른 제조사의 장비를 이용해서도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오픈랜이 상용화되면 통신사업자는 비용 절감과 유연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며, 이용자 측면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오픈랜 상용화를 위해 논의되는 네트워크 진화 방향은 △개방화 △가상화 △지능화 등이다. 이는 각각 개방형 인터페이스, RAN 가상화 및 클라우드화, 지능형 RAN 컨트롤러 기술 개발로 이어지는 추세다. 네트워크 개방화를 위해 논의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제조사 장비간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다. 기존에는 제조사별 자체 인터페이스를 사용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제조사 장비 간 호환이 불가능했지만, 오랜 얼라이언스가 표준화를 추진 중인 개방형 인터페이스에 맞춘 장비라면 제조사와 상관없이 연동이 가능하다. 'RAN 가상화'는 RAN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는 현재 전용 장비 형태로 제공되는 기지국 장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해 범용 서버에 기지국 소프트웨어를 구현한다. RAN 가상화가 이뤄지면 소프트웨어 중심의 가상화 기지국을 통해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다. 'RAN 지능화'는 AI, 머신러닝 등 기술을 활용해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운영 및 최적화하는 기술이다. 네트워크가 진화되고 RAN 지능화 기술이 활용되면, 통신사업자는 상황에 맞게 RAN을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비간 간섭을 제어하거나, 고객의 상황과 서비스 요구사항에 맞게 기지국 설정을 자동 변경하는 등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글로벌 오픈랜 시장 규모는 매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리포터링커에 따르면 세계 오픈랜 시장 규모는 연평균 64.4% 성장해 오는 2028년에는 231억달러(29조8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