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부동산 침체에 지방銀 연체율 ‘비상’

중기 연체율 많게는 두 배 상승

2024-06-27     김경렬 기자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 김경렬 기자  |  지방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일년 전에 비해 많게는 두 배 넘게 상승했다. 중소기업 경영난은 물론, 비수도권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이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부산·경남·대구·전북·광주은행 등 5대 지방은행 세곳의 1분기 평균 연체율은 0.58%다. 시중은행의 연체율(0.30%) 대비 두 배 높은 수준이다. 은행별로는 전북은행 1.19%, 대구은행 0.54%, 광주은행 0.46%, 부산·경남은행 0.33% 등을 기록했다. 수치만 놓고 보면 전북은행의 연체율이 1%를 넘겨 타사대비 강력한 경고등이 켜졌다. 부실한 대출은 대부분 중소기업 대출로 보인다. 대구·전북·부산은행의 중기 대출 평균 연체율은 올해 1분기 0.65%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평균 중기 대출 연체율(0.34%)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전북은행의 중기 대출 연체율은 일 년 새 0.43%에서 0.82%로 올랐다. 특히 전북은행의 올해 1분기 연체율은 소상공인 상권이 마비됐던 코로나19 시절보다 높다. 2021년 연체율은 0.63%, 2022년 0.43%였기 때문이다. 이어 대구은행의 중기 대출 연체율은 0.37%에서 0.79%로 상승했고, 부산은행도 0.21%에서 0.34%로 올랐다. 문제는 은행의 위기대응 역량이 떨어졌다는 점이다. 연체율이 가장 높은 전북은행은 고정이하여신(NPL) 커버리지 비율에서도 타사대비 위험했다. NPL 커버리지 비율은 충당금 적립액을 3개월 이상 원리금이 연체된 부실 대출로 나눈 값이다. 전북은행의 NPL 커버리지 비율은 올해 55.2%로, 작년 1분기(92.9%) 대비 급격히 하락했다. 업계에서는 부동산과 건설 경기 침체가 가장 큰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건설업계에서는 대구은행, 부산은행 등이 터잡은 대구와 울산 지역을 단기간 미분양을 해소하기 힘든 곳으로 꼽고 있다. 경기 상황을 고려한 지방은행은 신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올해 1분기 말 5대 지방은행의 부동산 및 건설업 대출 잔액은 이미 39조원에 육박한다. 금융권에서는 은행들의 대출 취약점을 고려해 다양한 제도적 보완책을 내놓고 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4월 시중은행 및 지방은행에 대해 차등 적용되고 있는 중기 대출비율을 50%로 맞추기로 결정했다. 이에 7월부터 지방은행에 적용되는 중기 대출 비중이 기존 60%에서 50%로 낮아질 전망이다. 시중은행의 중기대출 비중은 45%에서 50%로 높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