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족쇄 풀린 저축銀 ‘지각변동’ 예고

기존 저축은행, 규제 완화해도 “인수 여력 없어” 자본력 풍부한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 대안 부상

2024-06-29     홍석경 기자
M&A

매일일보 = 홍석경 기자  |  저축은행 인수합병(M&A) 규제가 완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금융지주 계열 중심으로 업계 지위가 재편할 관측이다. 기존 저축은행과 인터넷은행에 중금리 대출을 전적으로 맡기기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자본력이 풍부한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이 유리할 것이란 관측이다.

29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권역별 인수합병(M&A)을 허용하고, 지역 중심의 대형 저축은행을 육성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지역을 전담하는 대형 저축은행을 마련해 지역 자금중개 기능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현재 규정상 저축은행은 서로 다른 권역간 합병이 불가능하고 동일 대주주는 2개 저축은행까지만 소유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금융당국 내부에서는 지역 중심의 중금리 대출 전문 저축은행을 금융지주에 도입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해당 방안이 도입 될 경우 금융지주의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중저신용자에게 중금리 대출을 제한없이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당국은 OK·SBI 저축은행 등 대형 저축은행에만 중금리 대출을 의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봤다. 기존 저축은행들도 중금리 대출을 공급하고 있으나, 최근 자금조달 여건 악화로 대출 공급량은 계속 줄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올해 1분기 민간 중금리 대출(사잇돌 대출 제외) 취급액은 1조6685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2조7595억 원)보다 40% 줄어든 수치다. 또 금융당국은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에 중금리 대출을 의존하는 것도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당국이 인터넷은행에 중금리 대출 의무 비율을 부여하고 있으나, 시중은행에 속하는 인터넷은행이 부실 우려를 감수하며 중금리대출을 저신용자에게 계속 제공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다. 기존 저축은행의 자본력이 열위한 만큼, 충청지역에 기반을 둔 우리금융저축은행이 M&A를 통해 지역 중심의 대형 저축은행으로 거듭난 뒤 중금리 대출을 중점적으로 공급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무엇보다 관료 출신 임종룡 회장이 이끄는 우리금융이 최근 금융당국의 역점 정책에 적극 나서고 있어 이런 전망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저축은행업계의 대출 연체율 또한 높아지는 점도 불안 요소다. 올해 1분기 전체 79개 저축은행 연체율은 5.07%를 기록해 전년 동기(2.59%) 대비 2.48%포인트 증가했다. 지난 2011년 여러 저축은행이 영업 정지 처분 등을 받으며 무너졌던 ‘저축은행 사태’때 연체율 20%를 기록한 것과 비교했을 땐 낮은 편이나, 최근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올라가고 있어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저축은행 M&A는 올해 자발적으로 일어나긴 어려울 전망이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 개선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업권 간 M&A를 허용하는 방안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영 위기를 겪고 있는 지방 저축은행이 연쇄적으로 파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선제적으로 이를 인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저축은행업계는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아 섣불리 인수에 나서기는 부담스럽다는 반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