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 새마을금고 사태’ 안 돼… 1금융도 2금융도 건전성 방어 진땀
시중은행, 부동산PF 리스크 관리 총력..."모니터링 강화" 저축은행, 위기설에 "충당금 적립으로 유동성 충분해"
2024-07-10 이광표 기자
매일일보 = 이광표 기자 | 은행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잔액이 지속 증가하는 가운데 새마을금고 부실 요인 중 하나로 부동산 PF가 지목되면서 은행권도 분주하다. 관련 리스크 전이를 막는데 선제적 대응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당분간 우량 사업자 위주로 선별적으로 여신을 취급하고, 사업장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정상화 가능 사업장에는 추가 지원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6월 말 기준(신한·NH는 5월 말 기준) 부동산 PF 잔액은 16조4238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말(14조1264억원) 대비 2조2974억원, 16.3% 증가했다. 5대 은행 부동산 PF 잔액은 2020년 말(9조3609억원) 10조원에 못미쳤으나 2021년 말 10조9399억원에 이어 지난해 말 14조1264억원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지난 6월 말 기준 잔액은 2020년 말과 비교하면 75.5% 늘어난 수준이다. 이들 은행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아직 극히 낮은 수준이다. 다만 올해 들어서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5대 은행의 부동산 PF 연체율 평균은 2020년 말 0.25%에서 2021년 말 0.01%로 떨어진 데 이어 지난해 말에는 0%를 나타냈지만, 올해 6월 말 기준 0.42%로 소폭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PF 부실 우려가 확대되자 은행권이 연체채권 상각 조치 등을 단행했지만, 올해 들어 일부 사업장에서 다시 연체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증권업계에 이어 최근 새마을금고 사태의 촉발 원인 중 하나로 부동산 PF 대출 부실이 꼽히자 은행 등 타 금융업권의 잠재 리스크에도 우려의 시선이 쏠린다. 부동산 PF 등 금융기관의 부동산 관련 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확대된 상황에서 부동산 경기 부진이 지속될 경우 향후 불안 요인이 현실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새마을금고 사태는 부동산 관련 업종에 적극적으로 대출을 내줬다가 경기 하강 및 금리 인상 등으로 연체율이 상승하면서 부실이 증가한 것이 큰 요인이 됐다. 다만 금융권에서는 새마을금고 사태의 여파가 은행 등 1금융권으로 확대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은행권은 그동안 선순위이거나 시공사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사업장을 중심으로 PF 사업을 보수적으로 벌여왔기 때문에 리스크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금융권 전체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 3월 말 기준 2.01%로 작년 말(1.19%) 대비 0.82%포인트(p) 상승했다. 업권별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을 보면 증권사가 15.88%로 작년 말(10.38%) 대비 5.5%p 급등했고, 저축은행(4.07%)과 여신전문사(4.2%) 등도 비교적 높았다. 반면 은행은 연체채권 상각 조치 등으로 연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마을금고에 대한 위기설이 나오면서 2금융권에 대한 불안감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업황이 안좋은 상황인데다 신용평가사들이 신용등급을 낮추면서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이에 대해 저축은행 업권은 유동성 비율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면서 안심시키고 있다. 저축은행 업권 내에서는 저축은행 위기설은 기우에 불과하다고 일축한다. 최근 저축은행 업권에서 유동성 확보에 힘 쓴 영향으로 유동성 지표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79개 저축은행들의 유동성 비율은 평균 245.9%로 지난해 말보다 68.6%p 높아지며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저축은행업계의 유동성 비율이 200%를 넘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저축은행의 유동성 비율은 석 달 안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3개월 이내에 갚아야 하는 부채로 나눈 값으로, 금융사의 단기 채무 지급 능력을 알 수 있는 지표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자금조달이 어려웠던 것은 맞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리스크 관리를 위해 저축은행 업권이 당기순이익 지표 악화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충당금을 적립하는 등 대비를 해왔다”며 “유동성에 대한 업권에 대한 우려는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