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실질소득' 3.9%↓…고물가에 17년 만에 최대 폭 감소

24일 통계청 '2023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고금리에 이자 상승↓…가처분소득도 역대 최대↓

2024-08-24     염재인 기자
통계청은

매일일보 = 염재인 기자  |  올해 2분기 가계 실질소득이 역대 최대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소득이 9개 분기 연속으로 늘었지만, 코로나19 지원금 기저효과와 고물가에 따른 소비지출이 더 큰 영향이다. 고금리로 이자 비용 부담도 늘면서 가구가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향후 소비지출 둔화로 이어지면서 서민 경제 침체가 우려된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79만3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0.8% 감소했다. 이는 2009년 3분기 1.3% 줄어든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같은 분기 기준으로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 폭 감소다. 가구소득은 2021년 2분기 전년 동기 대비 0.7% 줄어든 이후 7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다가 올해 2분기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지난해 지급된 소상공인 코로나19 손실보전금 효과가 사라진 영향이 크다는 것이 통계청 설명이다. 물가 영향까지 겹치면서 실질소득은 더 큰 폭으로 감소했다. 물가 영향을 반영한 가구 실질소득은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3.9% 줄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통계청은 "코로나19로 인한 이전소득이 사라지면서 기저효과가 컸고, 고물가 영향이 더해지면서 소득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가구당
소득 유형별로 보면 전체 소득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근로소득이 302만8000원으로 4.9% 늘었다. 9분기 연속 증가세다. 전 분기(8.6%)보다 증가 폭은 줄었지만, 고용 상황 호조세로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사업소득(92만7000원)은 원재료값 인상, 이자 비용 증가 등 영향으로 0.1% 늘어나는데 그쳤다. 지난해 2분기 높은 증가율(14.9%)에 따른 기저효과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전소득은 지난해 지급된 코로나19 소상공인 손실 지원금 기저효과 영향으로 19.6% 줄었다. 재산소득은 21.8% 늘었고, 경조소득·보험금 수령 등 비경상소득은 12.5% 감소했다.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365만20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1% 늘었다. 이 중 소비지출은 269만1000원으로 2.7% 늘어 10분기째 증가세를 보였으나, 증가 폭은 크게 둔화했다. 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비지출 증가율은 0.5% 줄었다. 비소비지출은 96만2000원으로 8.3% 증가했다. 이중 고금리 영향으로 이자 비용이 42.4% 늘면서 1분기(42.8%)에 이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가구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은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83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2.8% 줄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소득이 큰 폭으로 줄어든 반면, 비소비지출은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유지한 탓이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14만1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8% 줄었고, 처분가능소득 대비 흑자액을 뜻하는 흑자율은 29.8%를 기록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을 뜻하는 평균소비성향은 지난해 같은 분기 대비 3.8%포인트(p) 상승한 70.2%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소비지출이 10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긴 했지만 코로나19 이후 보복심리 성향이 다소 진정된 것으로 보인다"라며 "가처분 소득도 역대 최대 폭으로 줄면서 전체 (실질) 소비도 줄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