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벌어 이자도 못 갚는 만성 좀비기업 903곳
장기존속 한계기업 10곳 중 1곳만 정상기업 회복
2024-09-26 이광표 기자
매일일보 = 이광표 기자 | 7년 이상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장기존속 한계기업'이 900곳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실린 '장기존속 한계기업 현황·특징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계기업은 3천903개로, 전체 외부감사 대상 비금융법인(외감기업)의 15.5%에 달했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 비용)이 3년 연속 1 미만인 기업을 뜻한다. 이 가운데 5년 이상 한계기업으로 분류된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903개사로 집계됐다. 전체 한계기업의 23.1%에 해당한다. 규모별로는 자산 1천억원 이상 1조원 미만 중견기업에서, 업종별로는 부동산, 운수(항공·해운 포함), 사업지원 등 서비스업에서 장기존속 한계기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지난해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부실 위험(중위값 기준)은 5.67%로, 외감기업과 한계기업의 부실위험(0.88%, 3.26%)을 크게 웃돌았다. 또한 기업의 취약 상태(이자보상배율 1 미만) 지속 기간이 길어질수록 1년 후 해당 기업이 정상기업(이자보상배율 1 이상)으로 회복되는 비율은 점차 낮아졌다. 지난 2021년 신규 취약 기업(취약 1년)의 36.6%, 신규 한계기업(취약 3년)의 22.6%가 지난해 정상기업으로 회복됐다. 반면 장기존속 한계기업(취약 7년 이상)은 9.9%만 정상기업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평균 자산은 1천291억3천만원, 매출은 648억6천만원으로 비한계기업의 0.67배, 0.4배에 불과했다. 반면 부채(1127억1천만원), 차입금(645억2000만원), 이자 비용(35억3000만원)은 각각 비한계기업의 1.23배, 1.47배, 2.32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금흐름 측면에서도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차입 등 재무 활동을 통해 조달한 현금을 영업손실 보전과 투자에 활용한 것으로 분석됐다.보고서에 따르면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자산 규모, 업종에 따라 현금흐름 양상에 차이를 보였다. 규모별로 보면 중견·대기업(자산 1천억원 이상)은 차입을 확대해 영업손실을 보전했지만, 중소기업들(1천억원 미만)은 주로 자산 매각 등을 통해 대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