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CJ ·SK의 결단' K-OTT 대표주자에 거는 기대
매일일보 = 김영민 기자 | 인터넷TV(IPTV), 케이블TV,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 영역을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가 잠식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젊은 층일수록 OTT 선호 현상이 더욱 짙다.
"요즘 넷플(넷플릭스) 뭐봄?"이라는 광고 카피가 유행할 정도로 OTT 시장이 크게 확대되면서 OTT가 유료방송 시장의 주류로 자리잡고 있다. 문제는 OTT 시장을 토종이 아닌 외산이 장악하면서 국내 업체들이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는 것이다.
외산 OTT가 안방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반가운 소식이 들렸다. 티빙(CJ ENM)과 웨이브(SK스퀘어)가 합병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의 통합으로 K-OTT 대표주자가 탄생하는 대장정이 시작된 것이다.
사실 반갑다기 보다는 다행이라는 생각이 먼저다. 거대 자본으로 가입자 기반을 늘리고 있는 외산 OTT의 대항마가 절실했던 만큼 토종 OTT들의 합병은 불가피하다. 토종 OTT의 규모를 키워 넷플릭스 같은 외산 OTT에 맞서야 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토종 OTT들은 외산 OTT에 대항하기 위해 오리지널 등 자체 콘텐츠에 과감하게 투자했으나 역부족이었다. 결과적으로 적자만 늘어나며 생존 위기를 맞고 있다.
외산 OTT와 불법 스트리밍 서비스에 치이고 있는 토종 OTT의 생존 방법은 사실상 뭉치는 것 밖에 없다.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한류 콘텐츠의 경쟁력을 통해 안방 사수는 물론 글로벌로 나아가야 한다.
티빙은 물론 웨이브도 K-콘텐츠를 앞세워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이 있었다. 하지만 K-콘텐츠마저 넷플릭스 등 외산 OTT로 향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토종 OTT들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투자금 문제로 다양하게 쏟아지는 K-콘텐츠를 수용하지 못하고 외산 OTT에 뺏기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양사의 합병은 지상파와 케이블, 종편 등을 망라하는 통합 OTT가 나온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다. K-OTT의 대표주자를 통해 일단 안방을 사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다만 티빙과 웨이브 합병은 지상파를 포함한 지분 정리와 기업결합 심사 등 넘어야 할 산이 있다. 만약이라도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기업결합에 딴지를 거는 일은 없어야 한다.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은 결국 생존을 위한 몸부림이다. 양사 합병으로 인해 시장점유율이 32%에 달하더라도 '국가적 팀킬'이라는 판단 오류는 범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웨이브는 SK가 최대주주지만 지상파들도 지분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주도권을 CJ에 뺏기는 것에 대한 반감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지상파들도 대세적 흐름과 생존을 위한 선택이라는 점에서 대승적인 판단을 해야 한다.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으로 국내 OTT가 안방 사수는 물론 글로벌 OTT로 거듭나는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오징어게임, 글로리, DP 등 넷플릭스에서 인기를 끌었던 우리나라 작품들이 앞으로 K-OTT 대표주자의 오리지널 콘텐츠로 나오기를 희망한다.
정부도 K-OTT를 비롯해 유료방송 시장이 성장하고 글로벌로 나아갈 수 있도록 규제는 풀고 정책적 지원은 아끼지 않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