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연체액 1년 만에 2배로
건설업 대출잔액 1년 만에 14%↑ 연체액·연체율 모두 증가폭 키워
2024-01-03 이재형 기자
매일일보 = 이재형 기자 | 장기간 지속된 고금리 상황에 건설업종발(發) 금융위기 위기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부동산 시장 하방 압력이 거세짐에 따라 연체율 추가 상승도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건설업종 대출 잔액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 23조2387억원에 달한다. 2022년 말(20조3915억원)보다 14%(2조8472억원) 증가했다. 2021년 말(15조9704억원)보다 46%나 늘었다. 연체율과 연체액 모두 오름세를 키우고 있다. 연체율은 0.45%로 2022년 말(0.26%) 대비 0.19%포인트 상승했다. 연체액도 2배 가량 증가했다. 건설업 대출 연체액은 1051억원으로 지난해 말 524억원보다 527억원 늘었다. 건설업 대출 연체율이 다른 업종보다 눈에 띄게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12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보면, 건설·부동산업의 연체율은 지난해 2분기 말 1.75%로 전체 기업 연체율(1.59%)보다 0.16%포인트 높았다. 건설·부동산업 연체율은 2021년 말까지 전체 기업 연체율보다 낮았지만 지난해 2분기부터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은행들은 부동산 PF 사업장에 대한 모니터링 강도를 높이고 있다. KB국민은행의 경우 6개월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사업장, 부실 징후 사업장 등에 대해 현장 실사 등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강도높게 진행하고 있다. 또 향후 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사업장을 선별적해 상환 기간을 연장하고 금리도 낮추는 등 리스케줄링을 통한 자구 기회를 부여한다. 신한은행 역시 매달 위험성 조사를 하고 있다. 이미 2022년 말부터 ‘PF 심사 가이드라인’을 강화했고, PF에 대한 대출 재점검(리뷰)과 기획 감리도 수시로 이뤄지고 있다. 정부 역시 부동산PF발 금융 위기 가능성을 무겁게 바라보고 있다. 한국은행은 최근 발행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가계와 기업 대출 증가를 부동산 부문이 주도하지만,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은 큰 상황”이라고 부동산 관련 대출을 금융 불안 요소로 지목했다. 한은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건설·부동산업 연체가 꾸준히 발생하면서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며 “최근 금융기관의 부실채권 매각 노력은 연체율 상승세를 제약하겠지만, 향후 부동산 시장의 하방 리스크(위험)를 감안하면 연체율의 추가적 상승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