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물가는 올랐지만 수출 중심 경기 회복 가능성 ↑

기재부, ‘최근 경제동향 1월호’ “민생 경제 회복 최우선 역점”

2024-01-12     이재형 기자

매일일보 = 이재형 기자  |  정부는 최근 한국 경제가 수출 중심의 경기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기획재정부(기재부)는 12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월호’를 발표해 이같이 밝혔다. 다만 소비 둔화·건설투자 부진 등 부문별로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8월부터 ‘경기 둔화 완화’라는 인식을 보이며 경기가 점차 회복하고 있다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 수출이 증가세를 이어간 것이 긍정적인 시그널로 작용했다. 월간 수출은 지난달까지 석 달째 플러스(+)를 기록 중이다. 이달 1∼10일 중국으로의 수출이 20개월 만에 반등하는 등 수출은 개선세가 뚜렷한 모습이다. 이승한 기재부 종합정책과장은 “대중(對中) 수출 품목의 30% 정도가 반도체로, 반도체 경기가 살아나면 대중 수출은 플러스로 전환된다”며 “중국의 추가적 경기 회복에 따라 (수출 회복세가) 석유화학, 기계, 철강으로 확산하는지가 변수”라고 말했다. 다만 경제 부문별 회복 속도에는 다소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민간소비와 건설투자가 부진한 것으로 정부는 평가했다. 대면 소비 등이 반영된 11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보다 0.1% 감소해 두 달째 줄었다.  재화소비를 보여주는 11월 소매판매는 1년 전보다는 0.3% 감소했다. 소매판매는 지난해 2분기부터 줄고 있다. 12월 소매판매는 소비자심리지수 상승이 긍정적 요인이지만, 국산 승용차의 내수 판매량과 할인점 매출액이 감소한 점은 부정적 요인이라는 게 정부의 전망이다. 이 과장은 “소비 같은 경우 고물가·고금리가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며 “작년 하반기 그리고 올해 상반기까지 고금리 영향이 피크(정점)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건설업체의 시공 실적을 보여주는 건설기성(불변)은 전월보다 4.1% 감소했다. 건설수주도 감소해 향후 건설투자가 부진할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최근 물가 상승세에 대해 '지속 둔화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은 3.2%로 두 달 연속 상승폭을 줄였다. 정부는 올해 물가 상승세가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체감 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높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봤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잠재적 리스크를 언급하기도 했다. 최근 태영건설 사태를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이 과장은 “민생경제 회복에 최우선 역점을 두면서 부동산 PF 등 잠재 위험의 철저한 관리와 함께 우리 경제의 역동성 제고와 미래세대를 위한 정책 노력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