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PF 위기에 저축은행 M&A 큰 장 서나

금융당국, 저축銀 대상 PF 충담금 적립 요구 PF 사업성↓ 등 대주주 매물 던질 가능성 커  

2025-01-28     서효문 기자

매일일보 = 서효문 기자  |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에 가장 취약한 저축은행업계의 M&A가 활발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PF 부실화에 따른 부담으로 벼랑 끝에 몰린 저축은행 대주주들이 M&A 시장에 뛰어들 수 있다는 예측에서디.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지난 25일 저축은행·상호금융 등 제2금융권을 대상으로 '부동산 PF 리스크 점검 회의'를 열고 당기순이익·국제결제은행(BIS) 자본 비율 여력 내에서 추가 충당금을 쌓도록 지도했다. 토지담보대출에 대해서도 PF 대출 수준의 충당금을 적립하도록 요구했다. 저축은행이 부동산 PF 중점 관리 대상이 된 것은 총자산 대비 부동산 PF 취급 비중이 높아서다. 그중에서도 브릿지론 비중이 큰 점이 꼽힌다. 저축은행업권의 총자산 대비 부동산 PF 취급 비중은 16.5%로 캐피탈(10.9%), 증권(4.1%) 등 여타 업권보다 높고, 브릿지론 비중도(나이스 신용평가 대상 16개사 기준) 55%로 증권(27%), 캐피탈(35%)보다 크다. 올해 분양·착공 감소로 브릿지론이 본 PF로 넘어가지 못하는 사업장이 속출하는 가운데 저축은행업권의 브릿지론 비중도 타 업권보다 크다. 시공·인허가 전 자금을 조달하는 브릿지론 특성상 시공 후 자금을 조달하는 본 PF로 연결되지 않으면 자금 회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현재 저축은행이 보유한 사업장들은 누적된 만기 연장으로 인해 사업성이 떨어진 고이 많다. 이에 따라 사업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일부 저축은행이 M&A 시장에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우선 올해부터 토지 담보 대출이 부동산 PF로 분류되면서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해야 하는 등 재무건전성 압박이 커졌는데 BIS 자기 자본 비율 7%(자산 1조원 이상 8%)로 떨어질 경우 당국으로부터 경영개선을 위한 적기시정조치가 부과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장 자율 조정'의 일환으로 M&A가 활성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해당 행보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 우선 지난달 상상인저축은행이 매물로 나온 뒤 우리금융저축은행이 인수 의사를 철회했고, 지난해부터 매물로 나온 HB·애큐온·OSB저축은행도 새 주인을 찾지 못하는 등 저축은행에 대한 수요가 부족해 예상보다 M&A 시장에서 저축은행들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진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비대면 모바일뱅킹이 활성화되면서 '지역밀착형 서민금융기관'이라는 저축은행의 입지가 좁아졌고, 저축은행이 지난해 1분기부터 3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는 등 악화일로를 걷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반대로 기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면서 향후 저축은행 M&A가 활성화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저축은행은 시중은행과 달리 여신 취급 시 고정금리 비중이 높은데 금리 하락 시 예대마진이 늘어 인수 매력도가 커질 수 있다는 이야기다. 저축은행 M&A 시장이 활성화될 경우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이 인수에 참여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