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中企 기피 원인은 ‘고용 불안정’… 정책적 지원 절실

대기업·중소기업 비정규직 비중 격차 ‘25.5p’ 넘겨 경력 쌓고자 中企 희망하지만…급여·복지로 ‘기피’

2025-02-07     김혜나 기자
청년

매일일보 = 김혜나 기자  |  일부 청년 구직자들은 경력 개발을 위해 중소기업 취업을 희망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연봉과 불안정한 고용 환경 때문에 입사를 꺼리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의 성장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적 지원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중소기업에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층도 적지 않다. 7일 잡코리아가 올해 신입직 취업을 준비하는 4년제 대학 졸업 구직자 73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취업 목표 기업은 중견기업(41.1%), 대기업(27.1%), 중소기업(21.0%), 공기업(7.3%) 순이었다. 중소기업 취업을 희망하는 이들은 그 이유로 ‘경력을 쌓고 업무를 배우기 좋을 것 같아서’(45.2%) 또는 ‘지원 경쟁률이 상대적으로 낮을 것 같아서’(38.7%) 등을 골랐다.

다만, 구직자의 중소기업 취업 기피는 심화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 중인 중소기업 1200곳에 내국인을 고용하지 못하는 이유를 물은 결과, ‘내국인의 중소기업 취업 기피’라고 응답한 비율이 89.8%로 나타났다. 지난 2021년 67.5%, 2022년 64%에 비해 급상승했다. 내국인 취업 기피 이유로 ‘열악한 작업환경과 낮은 임금 및 복지 수준’을 꼽았다.

청년들이 경력을 쌓고자 중소기업에 취업을 희망하더라도,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익이 적은 중소기업은 임금과 복지 등의 개선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중소기업을 옭아매는 각종 규제도 성장의 걸림돌이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야 인력 충원도 비교적 원활해지지만, 지속되는 경기 한파에 규제에도 가로막힌 중소기업들은 이중고를 겪는 실정이다. 이는 결국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 기피로 이어진다.

고용 불안정도 넘어야 할 산이다.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비정규직 근로자 비중이 높은 실정이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종사자 300인 미만 중소기업 비정규직 근로자는 767만9000명으로 중소기업 전체 근로자의 41.1%에 달했다. 대기업의 비정규직 근로자는 47만8000명으로 대기업 전체 근로자의 15.6%에 그쳤다.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비정규직 비중 격차는 25.5%포인트(p)에 달했다. 해를 거듭할수록 고착화되는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로 인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영업이익에서부터 차이를 보인다. 이는 나아가 기업의 임금지불능력, 업무환경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 기업 차원의 자구노력도 마땅히 필요하지만, 한계점이 있는 만큼 정책적인 뒷받침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두되는 추세다.

현재 중소 IT기업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청년 A씨는 “지금까지 1년 단위로 계약을 연장하며 일해 왔고,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것도 내심 바라고 있었는데 최근 회사 사정이 어려워서 이번에는 재계약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말을 들었다”며 “당장 생계를 위해 일은 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빠르게 구할 수 있는 일자리는 중소기업 비정규직이 더 많은 편이고 그로 인해 고용 환경이 불안한 것은 사실이다. 중소기업 취업 청년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도 희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