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에 못 갚은 기업빚 눈덩이…PF 경착륙 땐 금융시장 대혼란

원리금도 못 갚는 기업 급증...가계대출보다 심각 지난해 기업 부문 고정이하여신 비율 일제히 상승

2025-03-21     이광표 기자
기업대출이

매일일보 = 이광표 기자  |  기업대출이 부실 뇌관으로 부상하고 있다. 경기회복이 더뎌지는 가운데 추가자금을 필요로 하는 기업이 늘어난 탓이다. 특히 기업들의 연체율도 동반상승하고 있어 금융기관 부실 등 금융불안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국제금융협회의 세계부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125.2%로 1년전(121.0%)과 비교해 4.2%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홍콩(258%)과 중국(166.5%), 싱가포르(130.6%)에 이어 4위다. 증가폭은 러시아(8.4%p·72.9→81.3%), 사우디아라비아(8.2%p·55.6→63.8%), 중국(7.7%p·155.8→166.5%), 인도(7.0%p·53.7→60.7%)에 이어 5위 수준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18일 "기업대출의 경우 금리상승기 이전에 규모가 늘어난 부동산 PF 등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며 "금융기관들이 부실채권 매각을 통해 연체율 상승세를 제약할 수는 있겠지만 향후 부동산시장의 하방 리스크을 감안하면 연체율의 추가적 상승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고금리 기조가 당분간 이어지면 소비부진이 지속돼 소상공인 등을 중심으로 부실이 확대될 수 있다"고 했다. 은행들이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규제에 따라 올해 기업대출을 확대하는 것에 대해서는 리스크 관리로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난해 회사채 시장이 위축되며 반사효과로 기업대출을 확대할 수 있었지만, 연초부터 회사채 시장 강세가 나타나고 있는 만큼 기업대출을 늘리긴 쉽지 않을 것"이라며 "경기부진이 당분간 지속될 수 있는 만큼 올해 실적은 대출 성장보다 연체율 등 부실을 얼마나 잘 방어하느냐에 달려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 4대 은행의 기업대출에서 불거진 부실채권이 한 해 동안에만 5000억원 넘게 불어나면서 2조4000억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이 손실을 떠안거나 외부 기관에 헐값에 파는 형태로 털어낸 기업대출만 지난해 3조원에 달했지만, 부실 감축까지는 역부족인 모습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사태 이후 수 년 째 계속돼 온 금융지원 정책까지 감안하면 앞으로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개 은행의 기업대출에서 발생한 고정이하여신은 총 2조4151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26.5%(5063억원) 늘었다. 은행은 보통 고정이하여신이란 이름으로 부실채권을 분류해 둔다. 고정이하여신은 금융사가 내준 여신에서 통상 석 달 넘게 연체된 여신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금융사들은 자산을 건전성에 따라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나누는데 이중 고정과 회수의문, 추정손실에 해당하는 부분을 묶어 고정이하여신이라 부른다. 은행별로 보면 우선 국민은행의 기업대출 고정이하여신이 8716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73.1% 증가했다. 하나은행 역시 5938억원으로, 우리은행도 3922억원으로 각각 31.0%와 4.3%씩 해당 금액이 늘었다. 조사 대상 은행들 중에서는 신한은행의 기업대출 고정이하여신만 5575억원으로 3.2% 줄었다. 은행들이 여신 리스크 최소화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음에도 기업대출에서의 부실이 몸집을 불리고 있다는 점은 눈여겨 볼만한 대목이다. 실제로 조사 대상 은행들이 지난해 기업대출에서 상각하거나 매각한 부실채권은 2조9918억원으로 전년 대비 189.6% 급증했다. 은행은 회수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판단된 부실채권을 상각이나 매각을 통해 처리하게 된다. 상각은 은행이 손해를 감주하고 갖고 있던 부실채권을 아예 장부에서 지워버렸다는 의미다. 부실채권 매각은 채권 원가에 훨씬 못 미치는 돈을 받고 자산유동화 전문회사 등에 이를 넘긴 것이다. 한국은행은 2022년 4월부터 지난해 1월까지 사상 처음으로 일곱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이중 7월과 10월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했다. 이에 따른 한은 기준금리는 3.50%로, 2008년 11월의 4.00% 이후 최고치다. 문제는 아직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리스크가 잠재돼 있다는 점이다. 코로나19를 계기로 2020년 4월부터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상대로 시행돼 온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가 4년째 지속되고 있어서다. 이는 금융지원이 아니었다면 연체로 이어졌을 기업대출 중 상당수가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고 억눌려 왔다는 뜻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코로나19 금융지원에 따른 만기연장·상환유예 지원 금액은 지난해 6월 말 기준으로 76조2000억원에 달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리 인하 타이밍이 계속 지연되면서 부실대출은 앞으로 더 확대될 공산이 크다"며 "은행들로서는 상각과 매각에 따른 비용 부담이 상당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