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6조 빠진 면세업계, ‘부가 카테고리’로 수익성 개선
외국인 방문객 4배 증가…매출은 급감 내국인 마케팅 집중…주류·패션 강화
매일일보 = 강소슬 기자 | 면세업계 '빅 4' 롯데·신라·신세계·현대백화점 면세점 매출이 6조원 이상 줄었다. 중국 보따리상(따이궁) 발길이 끊기자 수익성 개선을 위해 내국인을 겨냥한 주류‧패션 등 부가 카테고리 강화에 나섰다.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롯데·신라·신세계·현대백화점 면세점 매출 합계는 8조9519억원으로 전년 대비 40.6% 급감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상반기 두타 면세점을 포함한 5개사 면세점 매출이 10조원을 넘어섰던 것을 감안하면 절반 이상 감소한 것이다.
업계 1위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38.8% 감소한 3조796억원을 기록했다. 신라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도 각각 30% 이상 매출이 감소해 2조9580억원, 1조9165억원을 기록했다. 현대백화점면세점은 지난해 매출 9978억원으로 전년 대비 55.8% 감소했다.
면세점 매출을 떠받치던 외국인 매출이 급감한 탓이 컸다. 지난해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온 외국인 방문객 수는 602만명으로 전년도 156만명 대비 4배가량 급증했지만, 방문객 증가 효과를 전혀 누리지 못했다.
외국인 매출 급감에는 면세시장의 주력 수요인 따이궁의 방문이 줄었기 때문이다. 면세업계는 지난해부터 관세청 주도로 따이궁에게 지급하는 송객수수료를 20~30%대로 줄였다.
송객수수료는 면세점이 관광객을 알선한 여행사·가이드에 제공하는 일종의 리베이트다. 코로나19 이전 10% 중반대였던 매출 대비 송객수수료는 중국의 한한령과 코로나19 등을 거치며 50% 가까이 치솟았다.
면세업계는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 수가 늘었지만, 매출 확대로는 이어지지 않자 주류와 패션 분야에 공을 들이며 내국인 집중 마케팅을 벌이고 있다.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인 매출은 지난해 2조6859억원으로 전년 1조4262억원보다 88.3% 증가했다.
특히 주류는 내국인들이 면세점에서 주요 구매 품목으로 떠올랐다. 술 면세 한도가 지난 2022년 9월 1인당 1병(1ℓ·400달러 이하)에서 2병(2ℓ·400달러 이하)으로 확대됐기 때문이다. 관세청은 올해 추가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주류 수요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면세점들 역시 객단가가 높은 위스키 제조·수입사와 협업하고 있다. 롯데면세점은 지난달 대만 싱글몰트 위스키 ‘카발란’ 제조사인 킹카그룹과 MOU(업무협약)를 체결했으며, 신라면세점은 싱글몰트 위스키 ‘글렌알라키’ 등을 국내에 수입·유통하는 메타베브코리아와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신세계면세점은 앞서 1월 인천공항 제2터미널에 매장 80%를 주류로 채운 매장을 오픈하면서 위스키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75% 늘어났다. 지난해 12월에는 온라인 주류 판매 플랫폼인 데일리샷과 제휴를 맺는 등 판로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패션 분야도 강화 중이다. 아미, 메종키츠네 등 프랑스 유명 패션 브랜드를 이달 1일부터 온라인 채널에 정식 입점시킨 롯데면세점은 하반기 무렵 해외 사업자와 국내 사업자를 연결하는 B2B(기업 대 기업) 방식의 패션 플랫폼을 선보일 계획이다.
신세계면세점은 글로벌 고객에게 K뷰티 제품을 가장 먼저 선보이기 위해 선출시를 시도하고 있다. 현대백화점면세점은 시내면세점인 무역센터점에도 연내 생로랑·발렌시아가·펜디 매장을 열고 명품 MD를 강화한다.
면세업계 관계자는 “내국인 고객 수요는 지속 확대될 것이 예상된다”며 “면세점 인기 카테고리는 화장품, 명품 패션, 시계가 차지하고 있지만, 내국인들의 여행 쇼핑리스트에 항상 주류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집중적으로 강화가 필요한 품목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