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해외수주부문 미래먹거리 ‘소형원전’, 전망은?
차세대 원전 산업 건설업계 새로운 돌파구 전망 계속돼 원전 강국 美·中 개발 매진…정부, ‘i-SMR’ 개발 나서
매일일보 = 김수현 기자 | 해외건설 부문 효자였던 중동지역 수주가 국내외 정세와 유가 변동 및 국제 금리 등 변수가 다양한 만큼 소형모듈원전(SMR) 등으로의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앞서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올해 초 “해외건설 진흥은 우리 건설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국가경제를 견인할 정부의 핵심과제인 만큼, 올해 역시 지역별‧프로젝트별 맞춤형 수주전략을 수립해 우리 기업들의 수주목표 달성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후 국토부는 후속대책을 통해 SMR을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와 스마트도시 등으로 포트폴리오 확대를 지원하기로 했다.
실제로 국내 건설사들은 차세대 사업으로 SMR을 선정하고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삼성물산 △현대건설 △DL이앤씨 △대우건설 등 대형 건설사들의 개발 의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SMR은 주로 핵추진 잠수함 및 항공모함에 사용되던 원전으로 증기발생기·냉각재 펌프 등 기기를 일체화해 300MW 이하 전력을 생산한다. 기존 원전에 비해 안전성이 대폭 개선됐고, 냉각수를 위해 바닷가 등에만 건립할 수 있던 원전과 달리 부지 선정이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또 대형 원전에 비해 공사기간이 짧고 폐기물 배출량도 적어 친환경적 발전에 적합하다는 평가다.
이 같은 장점 때문에 영국 국가원자력 연구원(NNL)은 향후 글로벌 SMR 시장 2035년 최대 65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세계경제포럼(WEF)는 2040년까지 SMR 시장의 성장률이 연평균 22%가 될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아직 안전성과 폐기물 처리 등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고, 태양광·풍력·수소 등 다른 신재생에너지의 단가가 점차 낮아지고 있어 관련 수요가 제한적이라는 의견도 있다.
그럼에도 주요국들은 SMR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우리도 서둘러 독자기술 개발은 물론 상용화 기술까지 서둘러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미국에서는 20개가량의 기업들이 SMR 상용화에 뛰어든 상태다. 이중 특히 기술력 측면에서 앞선 뉴스케일파워와 테라파워는 오는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뉴스케일파워는 지난 2020년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로부터 설계인증 심사를 받았고 유타주와 루마니아 도이체슈티에 77MW규모의 SMR을 우선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테라파워는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가 설립한 SMR 전문 기업으로 미국 정부는 20억달러 상당의 자금 지원해 2030년까지 와이오밍주에 25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실증단지를 건설을 추진 중이다.
대표적인 원전 대국인 중국 역시 SMR 개발을 통해 대형 원전의 위험성을 분산시키고자 노력 중이다. 지난해 8월 중국국가원자력공사(CNNC)는 오는 2026년 준공을 목표로 하이난성 창장 원전 부지 부근에 상업용 SMR ‘링룽원’의 핵심 모듈을 조립하는 등 상당한 자원을 투입 중이다.
우리 정부는 경쟁국에 속도를 맞추고자 한국형 소형모듈 원전인 ‘i-SMR’의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올해는 전년 예산의 9배 수준인 약 600억원을 i-SMR 개발에 편성해 2028년 개발 및 인허가를 획득해 2030년대에는 i-SMR 상용화를 목표로 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지난달 31일 발표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SMR 개발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이날 공개된 실무안에 따르면 4개 모듈러 구성된 0.7GW급 SMR 1기를 신설해 2034년 이후 가동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김재엽 에너지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무탄소 또는 저탄소 연료인 수소·암모니아 혼소발전 및 SMR의 활용 확대 등은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보장해 변동성 재생에너지 중심 전력믹스를 구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안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부연구위원은 “SMR의 적절한 활용은 발전부문의 탄소저감에 속도를 더할 수 있고 예비력 자원으로서 전력수급의 안정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후변화 대응 및 2050 탄소중립 이행을 불가역적 정책목표로 본다면 이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사회적‧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하는 계획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