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해외진출 단기 급성장…동남아 쏠림 해소해 이익 안정성 높여야
해외자산 20년간 10배 성장..."지역 다변화 모색해야"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비중 고른 수익 모델 발굴 필요
2025-06-26 이광표 기자
매일일보 = 이광표 기자 | 국내 금융사가 해외 진출 시 장기적으로 수익성 제고하기 위해서는 지역 다변화를 통한 리스크 분산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26일 이윤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은행의 지역별 해외진출 현황과 시사점’을 통해 “경제안보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진출 지역 리스크가 점차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위축됐던 은행권의 해외진출은 2000년대 중반 이후 다시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2022년 기준 자산규모와 점포수 기준 모두 과거에 비해 크게 성장했다.
은행권의 해외 자산은 지난 20여 년간 10배 가까이 성장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인 1997년 567억 달러였던 해외 자산은 2022년에 2031억 달러에 이르렀다. 같은 기간 257개였던 점포 수는 5년 만에 103개로 축소된 후 207개까지 늘어났다. 27개까지 줄어들었던 현지법인의 경우 2배 이상인 61개를 기록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지역별 해외진출 추이를 살펴보면 자산의 경우 영국과 일본 등과 같은 선진국 비중이 줄어든 대신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과 같은 개도국 비중이 높아졌다”면서 “당기순이익도 선진국의 이익이 감소한 대신 베트남과 기타 지역의 이익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2022년 기준으로 2005년과 비교해본 결과, 영국과 일본은 절반으로 줄어든 각각 9.9%와 8.5%를 기록한 반면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는 각각 7.7%와 7.1%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별 진출이 비교적 골고루 분산돼 있는 은행의 경우 해외이익을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윤석 선임연구위원은 “안정적인 수익성을 위해 동남아와 같은 개도국뿐 아니라 선진국에서의 해외사업 유지도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선임연구위원은 “과거 많은 금융사들이 대거 중국으로 진출했지만, 미‧중 간 전략경쟁에 따른 여파로 중국 내 사업 리스크가 커지면서 ‘차이나 리스크’가 현실화된 바 있다”면서 “향후 금융사가 신규 혹은 추가 진출 지역 선정 시 지역 다변화를 통한 리스크 분산이 장기적으로 수익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국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인도네시아 현지 지점이 1년 새 100개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 전초기지로 불리며 금융사들이 경쟁적으로 투자를 확대해 나갔지만, 수년째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구조조정에 돌입한 것이다.
4대 시중은행의 해외 진출 현황을 취합한 결과 인도네시아에 설치한 지점(현지 법인이 설립한 지점·출장소 등 포함)은 2022년 말 516개에서 올해 3월 409개로 107곳(26.3%)이 사라졌다. 같은 기간 은행들의 해외 점포는 35개국 1251개에서 1157개로 7.5%가 줄었는데, 인도네시아 점포가 줄어든 탓이 크다. 2020년 629개까지 늘어났던 국내 은행들의 인도네시아 현지 점포는 2021년 592개로 줄어든 이후 5년째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인도네시아 지점의 급격한 감소 배경에는 부실 금융사에 대한 구조조정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현지 금융당국의 외국계 자본 진출 규제로 우리나라 은행들이 인도네시아에 진출하려면 부실 금융사를 인수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현지 은행들의 구조조정 일환으로 점포와 인력을 대거 줄였다는 것이 국내 은행들의 설명이다.
국내 시중은행들은 2018년 전후 중국과 인도를 대체할 중요한 공략지로 인도네시아를 선택해 투자를 확대했지만, 수익성 면에선 여전히 고전하고 있다. 국민은행이 2020년 인수한 현지법인 ‘KB부코핀’은 지난해 1분기 336억원 적자를 낸 데 이어 올해 1분기는 688억원으로 적자폭이 2배나 확대됐다. 우리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인 ‘우리소다라은행’ 역시 1분기 순이익(142억원)이 지난해 1분기(190억원) 대비 25.3% 줄어드는 등 신한은행을 제외하고 모두 순이익이 감소했다.
국내 은행들의 공격적인 투자에도 불구하고 인도네시아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데에는 현지 당국의 강한 규제와 우리 은행들의 과열 경쟁 탓도 있다. 인도네시아의 상업은행은 지난 3월 기준 99개로, 현지 정부는 전체 은행 수를 줄이는 상황이다. 이성엽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지난 1월 보고서에서 “국내 은행들의 한국계 기업 및 (인도네시아) 교민 대상 영업은 경쟁이 과열된 상태”라고 밝혔다.
이에 국내 은행들의 해외 시장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한, 하나, 우리은행은 헝가리에 점포를 설립했고 국민·하나·우리은행은 폴란드 바르샤바에 해외 점포를 낼 예정이다. 이윤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은행의 안정적 수익을 위해 개발도상국에 쏠린 비중을 다변화해야 한다”면서 “동유럽에서 서유럽 은행 영향력이 주춤한 틈새시장을 노려 동유럽으로 진출하기 좋은 시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