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인간 증강의 시대, 비움으로써 충만해지는 인간을 말하다 『류영모』

- 인류세 시대에 다시 읽는 다석의 인간학

2024-10-21     김종혁 기자

매일일보 = 김종혁 기자  |  첨단 과학기술로 인간의 신체적·정신적 능력을 극대화하자는 사람들이 있다. 그로써 인간은 더 나은 존재가 될 수 있을까? 다석 류영모에 따르면 인간의 자기 초월은 ‘자기 긍정’이 아니라 오히려 ‘자기 부정’을 바탕으로 삼을 때 가능해진다.

인간은 죽음을 통해 삶의 숭고함을 보고, 무능을 통해 상호 의존과 공생의 방식으로 생명 살림을 이루며, 무지함을 통해 인간 언어와 인식 너머에 있는 신비를 발견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인간’ 자체가 문제가 된 시대인 지금의 인류세에 다석의 철학을 다시금 읽는다. 다석의 인간관을 반영하는 ‘어둠과 비움의 자기-초월적 인간학’부터, 다석 사상의 핵심을 이루는 ‘하나’와 ‘생각’ 그리고 ‘고디’, 다석이 그리스도 신앙을 바탕으로 동서양 사상을 융합해 창조한 종교 담론, 다석 고유의 용어인 ‘정음’과 ‘씨알’과 ‘빈탕’ 등을 두루 살펴본다. 이 땅에서 인간 그리고 인간의 영성을 천착한 다석의 사유를 오늘의 관점으로 접할 수 있다.

다석 류영모(多夕 柳永模, 1890∼1981)는 한국의 그리스도교 사상가이자 ‘서양 문명과 문화의 골수를 동쪽의 문명과 문화’의 뼈에 집어넣은 동서회통의 철학자다. 호인 다석은 ‘많은 저녁’을 뜻한다. 35년간 YMCA 연경반(硏經班) 모임에서 경전을 가르치고 ≪성서조선≫과 같은 잡지에 여러 편의 글을 기고한 애국계몽 운동가이기도 하다. 순우리말로 ≪노자≫와 ≪중용≫을 완역했으며, 1955년부터 1974년까지 20년 동안 직접 기록한 일기와 여러 잡지에 기고한 글들을 모은 ≪다석일지≫를 남겼다. 류영모는 평생 은둔하며 살았지만, 그의 가르침을 받은 많은 인물들이 그의 사상을 발전시키고 널리 알렸다. 류영모의 제자 중 대표적 인물로는 함석헌이 있다. 류영모가 숨을 거두며 마지막으로 한 말은 ‘아, 바, 디’였다. ‘아’는 감탄사, ‘바’는 밝다는 빛의 구현, ‘디’는 디딘다는 실천적 삶을 뜻했다. 류영모의 삶에서 나온 이러한 ‘생각’은 오늘날 그가 한국 근현대를 대표하는 사상가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지은이 안규식은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연구교수, 한국신학 연구자이다. 충남대학교 사학과(B.A.)와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하고 영국 킹스컬리지런던에서 종교사회학(M.A.)을 전공했다. 연세대학교에서 한국의 그리스도교 사상가인 다석 류영모의 신학을 주제로 조직·문화신학 박사 학위(Ph.D.)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에서 한국신학과 조직신학 그리고 기독교의 이해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비움과 숨: 한국적 영성을 위한 다석 류영모 신학 연구≫, ≪우리 시대의 그리스도교 사상가들 Ⅱ≫(공저)이 있으며, 번역서로 ≪디지털 교회를 위한 교회론≫, ≪신비주의≫, ≪그리스도 안에서 변화되다: 고린도전서≫, ≪바울이라는 세계≫, ≪어둠을 끊어 내다: 고린도후서≫, ≪신학의 역동성≫(공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