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글로벌 공급망, 여전히 중국 중심…재편에 상당 시간 소요"
대한상의 SGI "정부의 인프라·재정 지원 필요"
2024-10-22 최은서 기자
매일일보 = 최은서 기자 | 미·중 무역갈등 이후에도 중국이 여전히 반도체 제조 공급망 허브 역할을 하고 있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22일 '반도체 5대강국의 수출입 결합도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미국을 제외한 반도체 5대강국 간 무역 상호의존도가 여전히 높아 미국의 우방국 중심 공급망 재편이 빠른 시일 내에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와 미국, 중국, 대만, 일본 등 반도체 5대강국 간 무역의 상호 보완성 정도를 중국의 수출입 결합도를 통해 분석했다. 수출입 결합도는 양국 간 무역 연계성을 나타내는 지표다. 수출입결합도 수치가 1보다 크면 양국의 무역관계가 상호보완적이며, 1보다 작으면 무역 보완성이 떨어진다고 해석한다. 수출결합도 분석결과 2022년 기준 중국은 한국과의 메모리 반도체 수출 결합도가 2.94로 높게 나타났고 대만과의 메모리 반도체 수출 결합도 역시 1.52로 높았다. 수입측면에서도 2022년 중국의 수입 결합도가 메모리 및 시스템 반도체 모두 한국(메모리 2.28, 시스템 2.12), 대만(메모리 1.50, 시스템 1.29), 일본(메모리 1.44, 시스템 2.05)과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보완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미국과의 메모리 반도체 수출결합도는 0.62, 수입결합도는 0.09로 미중 간 무역은 보완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SGI는 "중국이 여전히 글로벌 반도체 제조 공급망 허브로서 기능하고 있고 메모리 반도체는 한국과, 시스템 반도체는 대만과 긴밀한 생산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2022년 기준 전자 및 광학기기의 대중 수출의 40%가 중간재이며 28%는 중국에서 해외로 재수출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한국 반도체 산업의 수출이 중국을 거점으로 한 글로벌 공급망 체인에 여전히 편입돼 있으므로 중국과의 급격한 디커플링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