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물에서 '인스타툰' 까지 청년 만화의 성장은 어디까지 인가?" 만화 전문 비평지 《지금, 만화》 23호 발간
- ‘청년’과 ‘만화’ 관점 심층분석 - ‘이태원 클라쓰’ 광진 작가, 한국만화웹툰평론가협회 박세현 회장 인터뷰 - 평론가들이 엄선한 ‘힙’한 만화 큐레이션 등 다양한 콘텐츠
매일일보 = 김종혁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이하 진흥원)은 만화평론 활성화 사업의 하나로 펴내는 만화 전문 비평지 <지금, 만화> 23호를 발간했다.
이번 호에서는 다양한 주제와 유명 인터뷰이들을 통해 ‘시대의 기둥’인 청년이 어떻게 만화를 접했고, 어떻게 함께 성장하고 발전했는지를 탐구했다.1990년대 인터넷을 통해 일본 만화를 ‘첫 만화’로 접한 이들이 지금의 청년 세대다. 또한 청년 세대는 웹툰의 태동 및 스마트폰으로 인한 성장과 확장을 지켜봤고, 이젠 그 미래까지 함께하고 있다. 이에 <지금, 만화> 23호는 그 어느 세대보다 만화를 더 폭넓고 다채롭게 즐기는 청년을 조명하고, 청년과 더불어 성장하고 변화하는 청년 만화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살폈다.
‘커버스토리’는 현재 청년의 만화 이용 실태를 포함해 ‘청년과 만화’의 관점에서 조망한다. 현 시점 청년 세대가 접한 다양한 만화들과 그 만화들이 청년의 현재에 미친 영향을 살폈다. 아울러 청년이 만화와 웹툰 속에서 어떤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는지, 만화가 청년 세대에 어떤 의미로 작용했는지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했다. 청년 만화의 시대별 변천사에 SNS를 중심으로 한 플랫폼 다변화까지 폭 넓게 다뤘다.
작품 비평인 ‘크리틱’에서는 몽실 작가의 <사서고생!>, 유기 작가의 <부동산이 없는 자에게 치명적인>을 분석해 취업, 직장생활, 높은 집값 등 청년 세대의 어려움이 만화에 어떻게 투영되는지를 현실적으로 짚었다.
서귤 작가의 <판타스틱 우울백서>를 통해선 ‘인스타툰’ 유행 현상을 중심으로 한 청년 세대의 정서를 분석했고, 케이트 비턴 작가의 <오리들>, 안그람 작가의 <토마토, 나이프, 그리고 입맞춤>을 통해선 윗세대가 물려준 폭력적 시스템에 대한 청년 세대의 분노를 조명했다.
‘인터뷰’ 코너에는 청년의 관심을 한 몸에 받는 ‘힙’한 인터뷰이들을 만났다. 카카오웹툰에서만 조회수 3억5000만 회를 넘기고, 일본, 미국, 태국, 중국, 인도네시아, 프랑스 6개 국어로 번역, 연재된 웹툰 <이태원 클라쓰>의 광진 작가는 웹툰 작가가 된 계기와 다작의 비결, 차기작 계획 등 독자들이 궁금해 하는 질문에 허심탄회하게 답했다.
또 최초의 만화와 웹툰 평론가협회인 (사)한국만화웹툰평론가협회를 이끌게 된 박세현 회장은 협회 창립이 만화와 웹툰계에 갖는 의미와 만화평론과 문학과 영화평론의 차이점, 만화평론가가 되기 위한 등용문에 대해서 진솔하게 이야기했다.
‘이럴 땐 이런 만화’에선 ‘동기부여’란 주제로 명사들의 추천 만화를 엄선했고, ‘나의 한 칸’에선 오판진 연극평론가가 <유미의 세포들>을 매개로 자신의 경험에서 비롯한 통찰을 소개했다.
《지금, 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