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국내 에너지 낭비형 시스템, 바뀌어야

2014-05-06     김필수
김필수(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우리는 먹을 거리를 수출을 통해 구현하는 수출 주도형 국가이다. 제한적인 내수 시장의 규모를  감안하면 세계를 대상으로 수출 활성화가 우리의 가장 큰 생존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이중 자동차는 분명히 국가 경제를 이끄는 확실한 대상이다. 생산된 차량 4대 중 3대를 수출하기 때문이다.동시에 수출로 번 외화가 국내 경제를 이끄는 만큼 내수시장에서의 낭비를 줄이는 요인도 우리가 풀어야할 당면 과제라 할 수 있다.우선 국내 고객들은 아직도 크고 대배기량의 차량을 선호한다. 큰 차가 안전하고 사회적 지위를 나타낸다는 의식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에너지 낭비  요인이다.경제적 능력을 도외시한 채 무리하게 큰 차나 수입차를 선호, 파산하는 ‘카 푸어’도 이제 하나의 흐름이 됐다.에너지의 97%를 수입하는 나라에서 에너지 절약은 남의 얘기인 양 생각하는 지도자들도 많다. 국회의원이나 정부 각 부처의 경우 경차를 운영하는 경우는 없다.이로 인해 일본이나 유럽처럼 경소형차 비율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정책적 방법을 도입하지도 않는다.국내 등록 차량 중 에너지 낭비가 큰 가솔린 엔진 기반의 자동변속기 구조가 대부분인 것도 문제다. 중형차 이상에서는 아예 현재 수동변속기를 선택조차 할 수 없는 상태가 됐다. 역시 에너지 과소비를 부추기는 대목이다.여기에 소비자가 욕구 충족을 위해 태어난 자동변속기 운전면허 제도도 한 몫하고 있다. 세계 시장에서 우리나라에만 있는 이 제도는 이제 왜곡된 면허제도로 바뀌었다.  지난해 국내에서 운전면허를 취득한 중국인이 2만3000명을 상회한 것. 앞으로 운전면허 취득 관광객을 모으는 아이디어도 생각해야 하는 웃지 못할 상황도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국가 간 에너지 사용과 개발에 대한 주도권 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제라도 정부는 에너지 절약에 가장 효과가 큰 에코드라이브 등 다양한 방법을 신속하게 도입해야 한다.자동차와 교통 분야는 국민이 직접 피부로 느끼는 분야인 만큼 더욱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기회는 항상 있는 것이 아니다. 지금이 바로 그 시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