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야기]아파트는 만고불변의 투자대상인가? (1)

2014-06-30     이석호 기자
[매일일보] 필자가 꼭 한가지 묻고 싶은 게 있다. '당신의 연봉이 오천만 원인데 월세 400만 원짜리 아파트에 사시겠습니까?' 물으면 설사 당신의 연봉이 일억 원이라 할지라도 대부분의 사람은 '미쳤구나!' 라고 말할 것이다.그렇다면, 현금 10억 원을 연이율 5%의 정기예금에 예치하면 년간 이자수익이 얼마일까? 그렇다. 5천만 원이다. 단순히 12개월로 나누면 월 400만 원꼴이다.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의 30평형대에서 40평형대의 거주용 부동산은 지역에 따라 편차는 있지만 대부분 10억 원을 호가한다.만약 당신이 시가 10억 원의 아파트에 거주한다면, 그 기회비용은  연이율 5%의 정기예금 기준으로 월 400인 것이다. 과연 이 주택가격은 타당한 것이고, 앞으로도 거주용 부동산이 인플레 이상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훌륭한 재테크 수단이 될까?전후의 한국사회는 엄청난 격동기를 겪으면서 1955년부터 1963년까지 폭발적인 인구증가를 가져온다. 이들 베이비 붐 세대는 국내 경제가 본격적인 성장을 시작한 1980년대에 사회에 진출하면서 이전 세대에 비해 늘어난 소득을 바탕으로 아파트, 자동차, 해외여행 등의 소비 주체가 되었는데 이들 세대가 독립하거나 결혼 등을 통해 신규 주택 수요자가 되기 시작한 1970년대 후반부터 순수 신규 주택 수요는 해마다 증가를 보여 년간 35만에서 40만 가구의 수요를 창출해 왔다.

이러한 순수 인구증가라는 요인과 더불어 전후 한국사회의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서울, 수도권으로 전입되는 인구증가는 결과적으로 꾸준한 택지 수요를 부채질해왔고,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거주용 부동산의 터무니 없는 가격 상승은 필연적인 결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