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시장 50대 이상이 20·30대 첫 추월...노령화 가속
인구구조 고령화에 노후대비·청년취업난 겹쳐
2015-07-23 배나은 기자
[매일일보 배나은 기자] 생계형 고령 근로자가 늘어남에 따라 고용시장이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60세 이상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6%(19만2000명) 늘어난 364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0.5%(1만7000명) 증가한 361만4000명으로 집계된 20대보다 2만9000명 많은 것이다.환갑을 넘긴 취업자가 손주뻘일 수도 있는 20대보다 많아진 것은 고용동향조사를 시작한 1963년 이래 처음이다.그 직전인 1분기에는 50대 취업자가 30대를 처음 추월했다.1분기 50대 취업자는 568만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0%(32만3000명) 불어나며, 567만2000명으로 0.1%(6000명) 감소한 30대보다 많아졌고 2분기에는 격차를 키웠다.이런 흐름은 2012년에 처음으로 남자에서 60세 이상 취업자가 20대를 앞지르고 여자에서 50대가 30대보다 많아진 데 이어 남녀 전체로 확대된 것이다.이에 따라 50세 이상 취업자 수는 20~30대를 처음으로 앞질렀다. 2분기 50세 이상 취업자는 952만1000명으로 20~30대의 933만5000명을 웃돈 것이다.전체 취업자에서 연령대별 비중은 고령화 쪽에 무게가 쏠렸다.지난 2분기에는 40대(26.00%), 50대(22.79%), 30대(22.18%), 60세 이상(14.13%), 20대(14.01%) 순으로, 지난해 연간 기준의 40대(26.50%), 30대(22.88%), 50대(22.36%), 20대(14.24%), 60세이상(13.12%) 순에서 달라진 것이다.10년 전인 2003년의 30대(27.94%), 40대(27.24%). 20대(19.58%), 50대(14.34%), 60세이상(9.68%), 30년 전인 1983년의 20대(27.49%), 30대(25.49%), 40대(23.01%), 50대(13.35%), 60세 이상(5.67%) 순과 비교하면 천양지차다.50세 이상 취업자 비중은 1965년 15.91%이던 것이 1987년(20.23%)과 2009년(30.58%) 각각 20%, 30% 선을 넘어서고선 지난 2분기(36.92%) 37%에 육박했다.반면 20~30대 취업자는 1965년 50.33%였으나 등락을 거듭하다 2001년(49.25%)과 2011년(38.93%)에 각각 40%대와 30%대로 내려앉았고 2분기에는 36.19%까지 빠졌다.이런 흐름에 대해 전문가들은 저출산에 따라 젊은층 인구가 대체로 감소세인 반면 50세 이상 인구는 늘어난데 원인이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15세 이상 인구 중 연령대별 비중은 1983년만 해도 20대(26.75%)가 연도별 고점을 찍으면서 30대(19.87%), 40대(16.81%), 50대(11.23%), 60세 이상(11.14%) 순이었지만 2003년에는 30대, 40대, 20대, 60세 이상, 50대 순으로 변화했다.지난해에는 60세 이상(20.37%)이 처음으로 20%를 넘어서며 가장 많아지고 40대(20.12%), 30대(18.62%), 50대(18.21%), 20대(14.93%) 순이었고, 올해 2분기에는 그 틀을 유지하는 가운데 50대(18.50%)가 30대(18.23%)보다 많아졌다.이밖에도 당장은 교육비 부담 탓에, 앞으로는 기대여명 상승에 따른 노후 준비 때문에 은퇴를 늦추고 돈벌이를 이어가야 하는 사정도 50대 이상에서 경제활동이 증가하는 배경으로 꼽힌다. 이런 영향으로 50세 이상의 고용률은 꾸준히 상승세다.이에 반해 청년층이 일자리를 구하기는 여전히 어렵다. 2분기 20대 실업률은 9.5%로 지난해 같은 기간(7.7%)보다 상승했다.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청년층은 첫 직장을 좋은 직장에서 정규직으로 출발하려고 하는데 이는 처음에 비정규직으로 시작하면 정규직 진입이 어렵기 때문”이라며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이나 번듯한 직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일자리 사다리’의 부재에 따른 노동시장의 이중구조화가 문제”라고 지적했다.이 실장은 “일과 학업을 병행하도록 돕는 정책만으로는 문제를 풀기 어렵다”며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격차를 개선하는 방향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