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총파업, 금융권 영향 미미할 듯
은행 지점별 극소수 인원만 참석
[매일일보 배나은 기자] 전국금융산업노조가 오는 3일 총파업을 선언함에 따라 14년 만에 시행될 이번 총파업이 금융권에 끼칠 영향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금융노조는 최경환 경제부총리와의 회동 직후인 지난달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문화마당에서 총파업 의지를 다지기 위한 대규모 진군대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날 집회에는 경찰 추산 조합원 8000여 명, 주최 측 추산 3만여 명에 달하는 시중은행과 금융기관 노조원들이 모였다.
총파업 하루 전날인 2일에는 각 금융사별로 총파업 참가 지침을 정해 내부 공고하거나 조합원들에 전달하고,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통해 총파업 시간과 장소를 확정했다. 금융노조는 현재 시중은행과 특수은행, 금융공기업, 카드사 등 37개 금융기관을 소속 지부로 두고 있다.
이 같은 금융노조의 지침에 따라 각 금융사 노조원들은 총파업 당일 참여 의사를 밝히고 있다. 그러나 참여 인원 수 자체는 많지 않아 당일 금융거래에 혼선을 빚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노조 측 역시 금융업은 국민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금융업무를 마비시키지 않는 선에서 집회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실제 우리은행은 영업점의 경우 분회장을 비롯한 1~2명, 본점 부서는 조합원의 최대 절반가량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도 파업에 참여는 하되 참가인원은 많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수도권 지점과 부서별로 배치된 분회장과 부분회장 정도가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외환은행은 분회장을 포함해 부서·지점별로 1~2명 정도만 참여할 예정이다. 국민은행 노조 역시 실제 파업 참여 규모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카드사 역시 은행과 크게 다르지 않은 일부 인원의 참석에 그칠 전망이다.
다만 이번 파업의 이슈에 금융공기업 임금·복지 삭감 반대가 포함됨에 따라 기업은행과 산업은행 등 국책은행은 파업 참여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는 분석은 나오고 있다.
파업 참여율이 높지 않은 만큼 실질적 손실은 문제가 되지는 않겠지만 이번 파업은 금융권 전반의 오래된 과제들을 재조명하는 효과는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현재 금융노조 측은 KB금융 징계 사태와 하나금융의 노사정합의 위반 및 외환은행 조기통합 시도, 우리은행 민영화와 금융당국의 일방적 금융기관 재편, NH농협 신경분리 부족자본금 문제 등 금융산업 현안을 일일이 거론하며 관치금융 철폐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또 정부의 공공기관 가짜 정상화대책의 부당성을 지적하며 노조와 논의 및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정상화대책 합의를 강행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특히 최수현 금감원장이 임영록 회장과 이건호 행장에 대한 경징계안을 확정할 경우 2차, 3차 총파업투쟁을 준비하겠다며 낙하산 인사 근절과 관치금융 철폐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이번 파업은 물리적 영향력 보다는 유야무야 조용히 잊혀지고 있던 금융권의 고질적 문제를 재조명 하고 노조 힘을 과시해 이후 이뤄질 각종 교섭 과정에 힘을 보태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