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용 영입보다 국민 위한 정책 개발이 필요한 시점
[매일일보] 변화무쌍한 비즈니스 세계에서 어떠한 세계적 상품이든 캐시카우(cash cow) 역할을 장기간 하기는 어렵다. 독보적인 인기 상품으로 승승장구하던 기업의 추락이 다반사로 일어나는 게 글로벌 시대의 비즈니스 환경이다. 불투명한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기업들이 신성장 동력을 찾는데 심혈을 기울이는 이유이다. 기업들이 강구하는 수단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M&A(인수 합병)와 R&D(연구 개발)이다.
M&A는 자본만 있다면 첨단기술이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진 벤처기업을 손쉽게 사들일 수 있다는 점에서 신성장 동력 마련을 위한 유용한 수단이다. 구글이나 페이스북이 이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때로는 적대적 M&A를 강행하기도 한다. 간혹 이로 인해 도덕성 논란이 벌어지기도 한다. R&D 역시 기업의 미래가치를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R&D는 그 성격상 시간이 오래 걸릴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위험부담은 감수해야 한다.
정당도 시시각각 변하는 민심의 바다에서 끊임없는 관심을 얻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강구한다. 그 대표적인 것이 참신하고 유력한 외부인사 영입과 시대적 요구에 맞는 정책 개발이다. 이는 국민의 지지를 이끌어 내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소비자 욕구 충족을 위해 노력하는 기업의 M&A 및 R&D와 일맥상통한다.
M&A는 외부의 역량을 불러들이는 것이고, R&D는 내부의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는 점이 다를 뿐이지 선순환 변화를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본질적으로 같기 때문이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국내에서 나오고 있는 대통령 출마설에 대해 부인(否認) 성명을 발표했다. 대한민국 최고의 글로벌 맨[世界人]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국제정치 역학관계가 아니라 본국의 정치권 때문에 성명까지 발표하는 건 아무래도 볼썽사납다.
반 총장의 대권주자 영입론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9년에도 야권에서 대권주자로 반 총장을 영입하자는 말이 돌았다. 당시 반 총장은 연임을 위해 여러 가지로 고심하고 있었다. 결국 반 총장은 당시 외교통상위원회 국정감사를 위해 뉴욕을 방문한 여야 의원들에게 국내 정치에 전혀 관심이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혀 논란을 잠재웠다.
5년이 지난 지금 똑같은 일이 반복되고 있다. 반 총장으로서는 곤혹스러울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논란은 정치권의 확실한 대권주자 부재(不在)에서 비롯됐다. 여나 야나 당장 국민에게 내세울 상품성 있는 후보가 없다보니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권주자 1위에 오른 반 총장에게 러브콜을 보내 그의 의중을 떠보려 했던 것이다. 상대의 영입론에 연고권이라는 견제구를 던진다는 의도도 있었을 것이다.
정당의 인재 영입은 국민지지 획득을 위한 것이니 탓할 바가 못 된다. 그러나 본인이 극구 부인함에도 계속 애드벌룬을 띄우는 식이어서는 곤란하다. 대통령 선거가 3년 넘게 남아있으니 당장 영입할 것도 아니다. 반 총장 영입이 집권을 보장하는 것도 아니다. 정치세력 하나 없이 혈혈단신으로 정당에 들어와 성공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여론조사 1위라는 것은 정치권에 대한 국민 불신이 어떠한지를 보여주는 바로미터일 뿐이다. 따라서 반기문 대망론은 제대로 못하면 심판할 것이라는 국민의 경고 메시지라고 이해해야 한다.
반기문 총장은 국제정치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가장 큰 인적 자원이다. 이를 알면서도 적대적 M&A식 영입론을 계속 입에 올리는 것은 국익에도 도움이 안 된다. 지금은 시기상 어는 정당이든 정책 개발이라는 R&D에 투자하는 게 더 효과적이다. 차기 대통령선거는 2017년 12월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