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실부담 전세금 1억 육박…4년간 32% 급등

전세가구 소득 20% 늘어나는 사이 전세금은 30%대 상승

2015-11-19     배나은 기자
[매일일보 배나은 기자] 전세가구가 실제로 부담하는 전세금 연 평균 1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전세금이 지난 4년간 30%가 넘게 급등하는 사이 전세 세입자의 소득은 20% 늘어나는 것에 그쳐 가계가 빚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19일 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의 ‘2014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가계가 부담한 전세금은 연평균 9896만원으로 1년 전보다 3.1% 증가했다.

이 조사가 처음 시작된 2010년만해도 평균 7496만원이었던 전세금은 4년 만에 2400만원(32.0%)이 늘었다.

전세 세입자의 소득 증가율은 전세금이 오르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다.

전세가구의 경상소득(임금·이자 등 정기적으로 들어오는 소득)은 2010년 3910만원에서 올해 4710만원으로 20.5% 증가하는 데 그쳤다.4년 전 전세가구는 연소득의 1.9배를 주고 전세금을 마련했지만, 이제는 2.1배를 내야 한다.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게 증가하는 전세금을 대려면 대출밖에 방법이 없다.부채를 보유한 전세가구의 금융부채는 2010년 3709만원에서 올해 4566만원으로 23.1% 증가했다.

전세금이 오르면서 전세가구의 대출 중 전·월세 보증금 용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33.0%에서 37.1%로 1년 만에 4.1%포인트 늘었다.

전세가구는 세금 등을 내고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소득의 20% 정도를 대출 원리금을 갚는 데 쓰고 있었다.

지난해 전세가구의 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898만원, 원리금상환액은 745만원이었다. 빚이 쌓이다 보니 원리금상환액이 2010년 449만원에서 3년 만에 65.3% 급증했다.

부채상환을 위한 대출 비중도 1년 만에 1.8%에서 2.8%로 늘었다. 빚을 내 빚을 갚는 ‘돌려막기’가 늘었다는 뜻이다.

월세보증금도 2010년 가구당 평균 1127만원에서 올해 1300만원으로 15.3% 비싸졌다. 전세보증금 상승세보다는 가파르지 않지만 같은 기간 월세가구의 경상소득 증가율 14.9%보다는 높다.

이런 가운데 전국의 전세금은 한 달도 거르지 않고 68개월째 올랐다. KB국민은행이 집계하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주택 전세금은 전월 대비로 2009년 3월부터 오르기 시작해 지난달까지 매달 상승했다.전세금은 내년에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저금리로 월세를 선호하는 임대인이 늘어나 전세 공급 물량이 부족한데다 주택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강하지 않아 매수 심리가 쉽사리 좋아지지 않고 있어서다.대출로도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전세금이 오르면 가계는 월세로 임대 형태를 바꿀 수밖에 없다.임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저성장·저금리에 따른 전세의 월세 전환은 바꿔놓기 어려운 흐름으로 보인다”며 “세입자들의 주거비 부담이 급격히 늘어나지 않도록 정부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