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벤처 안보이는 창조경제혁신센터, 대기업만 고군분투중

대기업 중심의 혁신센터 출범…중소·벤처 주체적 참여 필요
안철수 “단기적인 성과만 얻는데 급급…제대로 방향 못잡아”

2015-11-25     이한듬 기자
[매일일보 이한듬 기자] 정부가 중소·벤처기업의 전문적인 육성을 위해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잇따라 출범시키고 있지만 출범 초기부터 그 방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대기업을 중심으로 정책만 있을 뿐 참여 주체에 중소·벤처기업의 이름은 빠져있기 때문이다.지난 25일 전북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출범했다. 정부는 전북을 효성그룹과 연계해 세계 최고 탄소산업 클러스터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고, 이에따라 효성은 오는 2020년까지 총 1조2000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앞서 삼성그룹은 대구에, SK그룹은 대전에 각각 혁신센터를 출범시켰다.정부는 앞으로도 대기업들과 연계해 롯데는 부산, 두산은 경남, 한진은 인천, KT는 경기, 현대차는 광주, GS는 전남, LG는 충북, 한화는 충남, 네이버는 강원, CJ는 서울, 현대중공업은 울산, 다음카카오는 제주 등을 거점으로 창조경제를 지원하기 위한 혁신센터를 출범할 계획이다.이들 혁신센터는 정부와 대기업이 손잡고 유망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의 아이디어와 기술을 상품화 할 수 있도록 창업부터 노하우와 연구개발 지원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하지만 의구심을 드러내는 시각도 있다.혁신센터 출범 주체에 중소·벤처기업 없이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하달식의 지원방향만으로는 제대로된 중소·벤처기업의 창의성을 드러내기 힘들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시범 운영 없이 대기업의 등을 떠미는 식으로 사안을 진행하는 것 역시 우려되는 대목이다.성과 창출이나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에 대한 분석·보완도 없이 9월에 삼성, 10월엔 SK에 이어 최근 효성까지 한달 간격으로 잇따라 혁신센터를 출범하며 순기능만을 강조하고 있다.물론 정부와 대기업이 연계해 중소·벤처기업의 육성을 지원하겠다는 취지는 분명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부분이지만, 현재로서는 지나치게 단기적인 성과에만 목을 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창업을 유도하는데 대기업이 책임을 지게하는 방식 또한 문제점으로 거론된다.이명박 정부의 미소금융 정책은 사실상 대기업의 참여를 강요, 울며 겨자먹기식의 투자를 이끌어내 관치 논란을 빚기도 했는데 혁신센터 역시 비슷한 방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정치권에서도 이 같은 문제점을 거론하고 있다.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지난 24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에 조성된 대전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찾아 산학협력단 관계자, 입주기업 CEO들과 간담회를 통해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창조경제를 비판했다.안 의원은 “구호만 있고 제대로 방향을 못 잡는 게 아닌가하는 의구심이 있다”면서 “창업을 많이 시켜서 단기적으로 성과를 얻는 데 급급해 기업을 성공하게 하고, 국가경제에 보탬이 되게 할지에 대한 부분은 상대적으로 찾기 힘들다”고 지적했다.이와 함께 국가가 이미 창업한 회사가 성공하게 하는 데는 관심 없다는 점을 꼬집으며 창업보육센터에만 집중하기보다는 기업이 시장에서 성공하게 하는 데 많은 관심을 둬야 한다고 언급했다.안 의원은 “벤처기업이 성공하는 데 평균 7년이 걸리는데 2∼3년만에 평가를 받는다는 정책 자체가 기업이 성공하는 데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에 대한 개념이 없는 것”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