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국 금리 인상 타격 제한적”

2016-02-22     배나은 기자
[매일일보 배나은 기자]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더라도 과거와 달리 한국을 포함한 신흥국이 받을 타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22일 이승훈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연구원은 과거 미국의 금리 상승기와 현재의 상황을 비교하며 이같이 내다봤다.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고 나서 3∼4년의 시차를 두고 신흥국에서 외환위기가 발생한 바 있다.이 연구원은 “달러가 약세일 때 일부 신흥국의 통화가 고평가돼 경상수지 적자가 누적, 재정 적자가 발생했다가 미국 금리가 인상돼 달러가 강세로 돌아서자 경제 기초여건(펀더멘털)이 약하고 외채가 과도한 신흥국을 중심으로 외화 유동성이 경색됐다”고 설명했다.그러나 이 연구원은 최근 상황이 과거와는 다르다고 판단했다.그는 “미국의 금리 인상은 세계 유동성 축소 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유럽과 일본이 양적완화 정책을 확대함으로써 세계 유동성 증가율이 반등할 것”이라고 말했다.일본은행(BOJ)은 지난해 10월 연간 통화량 증가 규모를 기존 60조∼70조 엔대에서 80조 엔(약 744조원)으로 확대했고, 유럽중앙은행(ECB)은 지난달에 매월 600억 유로(약 75조원) 규모의 자산을 매입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이 연구원은 “미국이 올해 3분기께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나, 금리 인상이 완만하게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신흥국의 외화 유동성 발생 가능성은 작다”고 밝혔다.특히 한국에 대해서는 최근 몇 년간 외국인의 자금 유입 추세가 계속됐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봤다.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외국인 주식 순매수 규모는 2013년 4조7000억원에서 2014년 6조3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채권 순투자 규모는 3조5000억원에서 5조2000억원으로 증가했다.이 연구원은 “한국은 외국인의 자금 유입 추세가 지속하고 있는데다 원화가치도 고평가되지 않았고, 경제 기초여건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다른 신흥국보다 외화 유동성 경색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말했다.또한 그는 “2009년 이후 선진국의 국가 신용등급 강등으로 안전자산이 감소함에 따라 원화 채권에 대한 외국인의 투자수요도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