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단기외채 비중 27%로 소폭 상승

‘대외자산>대외부채’ 순자산국 지위 유지

2016-03-05     배나은 기자
[매일일보 배나은 기자] 전체 외채 중 만기가 1년 이하인 단기외채 비중이 27% 수준으로 소폭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14년 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대외채무 잔액(외국에서 빌린 돈)은 4254억달러로 1년 새 19억달러 늘었다.

이 가운데 단기외채는 1153달러로 전체 대외채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3년 말의 26.4%에서 27.1%로 소폭 높아졌다.

단기외채 비중은 경상수지·외환보유액과 함께 국가의 대외지급능력을 측정하는 3대 지표로 꼽힌다. 만기 1년 미만의 회사채, 차입금 등은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때 한꺼번에 빠져나갈 수 있는 자금으로 구분된다.단기외채 비중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9월 말에 51.9%에 달하다가 2013년에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20%대로 떨어졌고 2년 연속 이 수준을 유지했다.단기적인 대외지급 능력을 나타내는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1년 새 32.3%에서 31.7%로 낮아졌다. 이는 외환보유액이 늘어난 데 따른 결과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지난해 단기외채는 외국계 은행 국내지점의 단기 차입이 확대돼 연간 35억달러 증가했지만, 장기외채는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약세)에 따른 외국인투자 채권 평가액 감소 등으로 16억달러 줄었다.경상수지의 지속적인 흑자로 한 국가의 대외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순대외채권(대외채권-대외채무)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년 말보다 681억달러 늘어난 2535억달러였다.기획재정부는 “지난해 총외채가 소폭 증가했지만 외채 건전성과 지급 능력 지표는 양호한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며 “앞으로 외화자금시장, 외국인 투자증권을 중심으로 외채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외화건전성부담금 제도 개편 등 이미 발표한 대외건전성 제고 조치를 차질없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한편 한국은 지난해 9월 말부터 계속해서 ‘순대외자산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외국인들이 한국에 빌려주거나 투자한 돈을 모두 회수해도 남는 자산이 있다는 뜻이다.지난해 12월 말 현재 한국의 대외투자는 1조802억달러로 1년 전보다 1127억달러 증가했다. 해외 주식(192억달러), 채권(183억달러), 직접투자(197억달러) 등이 모두 늘었다.같은 기간에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64억달러 감소한 9983억달러였다. 국내 주가가 하락하고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떨어져 증권투자 잔액이 257억달러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내국인의 대외투자에서 외국인의 국내투자를 뺀 순국제투자 잔액은 819억달러였다. 순국제투자 잔액은 지난해 9월 말 사상 처음으로 플러스를 기록한 바 있다.한국은 2000년부터 외국에서 받을 돈(대외채권)이 갚아야 할 돈(대외채무)보다 많은 순채권국이었으나 여기에 주식과 파생상품, 지분투자 등을 포함하면 ‘마이너스’인 상태였다.한국이 ‘순대외자산국’이 된 요인으로는 큰 폭의 경상수지 흑자, 외국인 직접투자를 초과한 대외 직접투자, 해외 증권투자 증가세 등이 꼽힌다. 한국의 해외투자가 그만큼 늘었다는 얘기다.다만 2013년 말 기준으로 순국제투자 잔액이 3조865억달러에 이르는 일본과 중국(1조9716억달러), 독일(1조6605억달러)에 비해선 규모가 작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