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빚 증가, 실물경제 활성화 효과도 줄어”
보험硏 “포괄적인 가계부채 관리 정책 필요”
2016-03-15 배나은 기자
[매일일보 배나은 기자] 가계 빚 증가가 소비 등 실물경제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줄었다는 분석이 나왔다.보험연구원은 15일 ‘최근 가계부채 증가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2012년 이후 가계부채 증가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과거보다 준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보고서는 “지난해 8월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 이후 주택매매 거래건수가 전년 동기보다 8.6% 늘었다”며 “그러나 과거 LTV·DTI의 변화가 있던 2009년 9월과 2011년 3월 이후에는 주택매매 건수가 각각 31.3%, 33.7% 늘었다”고 설명했다.이어 “2009년 규제 변화 이후 소매판매 증가율은 10.9%에 달했으나 지난해 4분기 민간 소비 증가율은 1.4%로 규제 완화 이전 분기 (1.5%)와 유사한 수준이었다”고 덧붙였다.늘어난 가계 부채가 주택구매나 소비지출로 이어져 실물경제를 뒷받침하는 효과가 줄었다는 설명이다.보고서는 “가계부채 증가가 실물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는 줄어들고 있다”며 “이런 현상은 저성장 고착화와 고령화로 장기간 지속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그러면서 “기준금리 인하로 가계부채 급증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실물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효과는 줄어 가계부채의 위험성은 그전과 비교하면 더욱 확대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전용식 연구위원은 “금리 인하는 가계부채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고, 가계부채가 소득보다 빠르게 늘기 때문에 가계의 재무건전성 악화 속도가 한층 더 빨라진 것으로 보인다”며 “경제환경 변화와 금융산업의 미래를 고려한 포괄적인 가계부채 관리 정책과 경영전략이 수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이어 “정책 당국은 가계부채의 위험성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일관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금융사는 고령화와 저성장 고착화 등 경제의 구조 변화 동인이 가져올 수 있는 영향을 검토해 경영전략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