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가계부채 부실 위험 112만 가구”

전체 부채가구의 10% 수준…저소득층 위주로 위험 증가

2015-06-30     배나은 기자
[매일일보 배나은 기자] 가계부채로 부실 위험에 노출 된 가구가 112만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은행은 3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지난해 실시한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토대로 그런 분석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한은은 먼저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라는 새 평가지표를 개발했다.이전에는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원리금상환비율(원리금상환액/처분가능소득)이나 부채/자산 비율(총부채/자산평가액)을 사용했다.그러나 새 지표는 두 비율을 개별적으로 보지 않고 결합해 수치화한 것이다.개별 가구의 원리금상환비율과 부채/자산 비율이 임계치(각각 40%, 100%)에 도달했을 때 가계부실위험지수는 100이 되고, 지수가 100을 넘으면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큰 위험가구로 분류된다.한은이 가계부실위험지수 100을 초과하는 가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위험가구 수는 금융부채를 보유한 전체 1090만5000가구 가운데 10.3%인 112만2000가구로, 2013년보다 4000가구 증가했다.다만 가구당 금융부채 규모가 감소해 이들이 보유한 위험부채 규모는 2013년 166조3000억원에서 2014년 143조원으로 줄어든 것으로 추정됐다.전체 부채 보유가구의 가계부실위험지수 평균값(가계부문위험지수)은 같은 기간 52.0에서 56.2로 증가해 가계 부문의 위험도가 전반적으로 높아졌다.하지만 개별가구의 부채 규모별로 가중평균해 산출한 가계대출위험지수는 같은 기간 88.7에서 80.0로 줄어 가계 부실이 금융기관에 미치는 영향도는 개선됐다.한은은 “가계 부문의 부실 위험이 저소득층, 저자산 보유자, 비정규직 등 취약계층 중심으로 증가하면서 위험가구의 가구당 부채 규모가 1억5000만원에서 1억3000만원으로 감소했다”며 “이로 인해 가계부실위험지수 평균값은 높아졌는데 금융기관에 미치는 영향은 줄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