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임단협 화두는..임금인상·복리후생 확대
기업 인사·노무 담당 84% 올해 임단협 순항 전망
'통상임금, 근로시간, 정년 등 노동현안 해법'이 32.7%로 그 뒤를 이었다. '구조조정 및 고용안정'(4.7%), '경영 및 인사에 노조참여'(3.7%), '작업장 안전 및 산재예방·보상'(1.3%) 등의 답도 있었다.
임금 협상안을 보면 회사 측은 임금총액 기준 평균 3.0% 인상을 제시한 반면 노조 측은 5.8% 인상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기업들은 3.9% 선에서 타결될 것으로 내다봤다.
상의는 "수출감소와 내수위축 등으로 기업 경영 사정이 좋지 않아 임금인상 여력이 크지 않다"며 "지난해(4.1%)와 비슷한 수준에서 노사가 접점을 찾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응답 기업들은 하반기 노사관계 불안요인으로 '임금피크제 도입 등 임금체계 개편 추진'(56.3%)과 '노동시장 구조개혁'(33.3%)을 주로 지목했다.
이어 정부의 위법·불합리한 단체협약 시정조치(12.3%), '명예퇴직 등 고용조정 확산'(12.0%) 등의 순이었다.
또 응답기업의 17.2%가 위법조항인 '퇴직자 가족 등 우선·특별채용규정'을 단체협약규정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39.7%는 '인사·경영권에 대한 노조 동의규정'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규정을 올해 임단협에서 개선하겠다고 답한 기업은 32.8%에 그쳤다.
'올해 임단협은 노사 자율합의로 타결될 것'이라는 응답은 84.0%로 낙관적 전망이 주를 이뤘다.
10.0%는 노동위원회의 조정이나 중재로 타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파업 돌입 후 타결되거나 올해 안에 타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률은 각각 4.7%와 1.3%였다.
올해 임단협의 교섭기간이 작년보다 길어질 것으로 예상한 기업(31.3%)은 짧아질 것이라는 기업(13.4%) 보다 많았다.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55.3%였다.
예상 교섭기간은 지난해(2.7개월)보다 긴 평균 3.0개월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