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연구원, 초고령화 사회 대비해 헬스케어 서비스 키워야

"노인층, 전체 의료비 3분의 1 이상 지출"

2016-08-17     이경민 기자
[매일일보 이경민 기자] 오는 2050년에 노인인구가 40%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민 의료비를 줄이고 고령층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헬스케어(건강관리) 서비스’ 산업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17일 보험연구원 정성희 연구위원이 발표한 ‘고령자·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헬스케어서비스 활용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 질병구조가 만성질환 중심으로 바뀌면서 우리나라 국민의료비 지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2013년 기준으로 인구 8명 중 1명이 노인층(65세 이상)이고, 이들이 전체 의료비의 3분의1 이상을 지출하고 있다.또 노인 인구의 93.9%가 한 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가운데 복합 만성질환을 겪는 노인 환자가 증가해 노후의료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정 위원은 이런 점을 근거로 예방 중심의 보건의료정책을 시행하는 미국처럼 한국도 노인과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강화해 국민의료비를 절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특히 정보통신기술(ICT) 발전에 힘입어 전통적인 의료기관 외에 보험사, IT기업, 통신업체 등도 헬스케어 서비스 공급자로 등장하는 최근의 추세에 주목했다.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건강관리 산업이나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한 원격의료와 홈케어서비스 등이 대표적이다.정 위원은 “우리나라 노인 인구의 90% 이상이 한 가지 이상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만큼, 헬스케어 서비스를 통한 국민 건강관리로 국가적인 총 의료비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그는 “의료법, 약사법, 의료기기법, 국민건강보험법 등 산업 생태계 전반의 규제가 헬스케어 산업의 신규 진입을 막아 재정비가 필요하다”며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기 등으로 수집되는 건강정보에 대한 보안·관리체계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