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계 구조조정 ‘칼바람’에 떤다
대기업 살생부도 내달 윤곽
2016-11-11 정두리 기자
[매일일보 정두리 기자] 금융당국이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에서 구조조정 대상업체를 무더기로 선정한 것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선제 대응으로 우리 경제의 불안요인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다.이달 중에는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로 변신한 유암코가 첫 구조조정대상 기업을 선정하고, 다음달에는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대기업 수시 신용위험평가를 끝낼 예정이어서 ‘옥석 가리기’를 통한 구조조정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11일 금융감독원 발표를 보면 올해 정기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에서 C등급과 D등급의 부실징후기업으로 분류돼 구조조정 수술대에 오른 기업은 각각 70곳과 105곳으로 모두 175곳이다.구조조정 대상은 지난해보다 40%(50곳) 늘어 세계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512곳)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2013년 112곳, 2014년 125곳에 이어 증가세가 이어진 가운데 올해는 증가폭이 두드러졌다.특히 최저등급인 D등급이 작년(71곳)보다 48%(34곳)나 늘어난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여기서 C등급과 D등급은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각각 ‘있다’와 ‘없다’로 판단된 곳이다.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늘어난 것은 직접적으로는 평가를 강화한 영향이 컸다.채권은행들은 평가대상 중소기업 1만7594곳을 대상으로 신용위험평가를 거쳐 이 가운데 재무구조가 취약한 1934곳을 세부평가 대상으로 잡았다. 세부평가 대상은 작년보다 20%(325곳) 늘었다.세부평가 대상이 늘어난 것은 선정 기준을 강화한 결과다.종전에는 ‘최근 3년간’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이거나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이 대상이었으나 이번에는 ‘최근 2년간’으로 확대했다.이러한 배경에는 기본적으로는 경기 부진이 배경으로 꼽힌다.저성장이 고착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올 정도로 경기회복이 더딘 가운데 특히 중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의 경기 둔화는 수출 제조업체에 치명타가 됐다.이번 평가에서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중소기업 가운데 60%(105곳)는 제조업체다.금융당국은 이런 흐름 속에서 저금리에 기대어 연명하는 기업이 적지 않다고 보고 있다.이번 평가결과에 따라 은행들은 7524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이미 3020억원을 적립했으므로 추가로 4504억원을 더 쌓아야 한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채권단 주도의 기업 구조조정은 대기업에서도 진행형이다.대기업 그룹 차원에서는 주채무계열 재무구조 평가제도에 따라 구조조정이 이뤄지고 있다.금융감독당국과 금융권은 올해 대기업그룹 41계 계열을 주채무계열로 정했다.이 가운데 재무구조가 취약한 11개 계열을 재무구조개선약정 대상으로 선정해 자본확충, 자산매각, 사업구조 재편 같은 자구계획을 이행토록 하고 있다.개별 대기업에 대해선 지난 6월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거쳐 35곳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추려냈는데, 금융감독당국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이달부터 다음달까지 일정으로 수시 신용위험평가를 진행 중이다.이르면 다음달이면 추가로 대기업에 대한 옥석 가리기 결과가 나오는 셈이다. 금융당국이 그리고 있는 업종별 구조조정의 밑그림도 이르면 이달 중 윤곽을 드러낸다.대우조선해양을 포함한 국내 주요업체들이 대규모 부실을 드러낸 조선업종과 장기 침체에 시달리고 있는 해운, 석유화학, 철강, 건설 등 5대 업종이 일단 검토 대상이다.금융위는 채권은행의 기업 신용위험평가를 토대로 부실기업에 대해서는 자구노력을 전제로 한 신속한 구조조정을 추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