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내년에도 대외악재 많다

미 금리인상 ·중국경기 둔화…국내외 정치일정도 부담

2016-11-30     이경민 기자
[매일일보 이경민 기자] 한국경제가 내년에도 대외 악재에 시달릴 것으로 보인다.  30일 국내외 경제예측기관들에 따르면 내년에 중국경제는 올해보다 나빠질 가능성이 있으며 미국의 금리인상 본격화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흔들 수도 있다.원자재 가격의 지속적인 하락으로 인해 신흥국들은 외환위기에 직면할 가능성도 있다.  내년도 국내외 정치일정도 부담스럽다.  한국은 내년 4월에 국회의원 총선거를 실시하며 미국은 11월에 대통령선거를 치른다. 정치적 이벤트는 위기 대응력을 떨어트리는 경우가 있다.  내년에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 핀란드의 유로존 탈퇴(픽시트)에 대한 논란이 일어나면서 유럽경제가 다시 혼란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한국의 입장에서는 내년에 좋아질 요인이 별로 없다. 수출이나 내수 모두 살아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중국 경착륙, 미국 기준금리 인상, 원자재 수출 신흥국의 외환위기 가능성 등의 리스크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중국경제의 둔화는 한국경제에 결정적인 악재가 될 수 있다.  무디스는 최근 한국 경제의 부정적 요인으로 중국 경제의 둔화와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꼽았다. 이 국제신용평기관은 특히 “예상보다 빠른 중국 경제 성장 둔화가 가장 큰 위협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세계 경제전망에서 한국 경제의 내년 전망치를 기존의 3.6%에서 3.1%로 낮추면서 중국 경기둔화로 인한 수출부진 우려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성장률 저하 요인으로 들었다.  OECD는 중국경제가 올해 6.8%, 내년 6.5%, 내후년 6.2%까지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중국이 설정한 향후 5년간 성장률 마지노선 6.5%를 밑도는 전망치다.  현대경제연구원도 2016년 한국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 경제의 가장 큰 하방위험은 중국의 경기 둔화 가능성 및 구조개혁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의 성장 둔화와 산업구조 고도화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내년에 더욱 커질 전망이다.  한국의 국제금융센터는 중국 불안이 글로벌 리스크의 핵으로 부상했다고 지적했다. 한국 경제 역시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이 나라 경제가 경착륙을 하게 되면 심한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미국의 금리인상이 적지 않은 혼란을 불러올 수도 있다.  미국은 올해 12월을 시작으로 내년에도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국제 금융시장 불안정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으며 외환건전성이 취약한 신흥국을 중심으로 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동남아시아에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등의 위험이 크다고 덧붙였다.  원유 등 원자재 가격의 지속적인 하락과 신흥국의 경기 부진도 큰 불안 요소다.  국제 원자재 가격은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와 공급과잉 등으로 약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게 나오고 있다. 골드만삭스와 바클레이스 등은 최근 석유와 구리, 석탄, 아연 등 원자재 가격이 아직 바닥까지 떨어진 것이 아니라면서 더 내려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내외의 정치적 상황 역시 변수가 될 수 있다.  그리스의 구제금융 협상안 타결로 그리스의 유로존 이탈, 즉 ‘그렉시트’ 위기는 넘겼으나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다. 게다가 경제가 흔들리는 핀란드 역시 유로존 탈퇴(픽시트) 가능성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이들 나라의 이탈이 실제로 이뤄지거나 이에 대한 논란이 일어나면 시장의 불안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게다가 한국과 미국은 내년에 중요한 선거를 치른다. 한국은 내년 4월에 국회의원 선거를 실시하며 미국은 11월에 대통령 선거가 있다.  이 때문에 선거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질 것이라고 걱정하는 의견이 일각에서 제기된다. 선거철에는 표를 얻기 위한 포퓰리즘 정책이 쏟아지는데다 위기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