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흥국 저성장 시대 진입…"韓 경제 2%대 성장 전망"
원자재 가격 급락과 중국 성장둔화 영향
2016-12-21 이경민 기자
[매일일보 이경민 기자] 원자재 가격 급락과 중국의 성장둔화로 주요 신흥국들이 저성장 시대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왔다.한국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한국 경제가 2%대 성장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21일 세계은행에 따르면 중국과 브라질, 러시아,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한국을 포함한 24개 신흥국의 경제성장률은 2010년 7.6%에서 2014년 4.5%, 올해 3%대 후반으로 떨어지면서 급감했다. 올해 중국과 러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모두 3년째 성장률이 둔화됐다. 이에 따라 신흥국과 선진국간 성장률 격차는 2%포인트 수준으로 좁혀졌다. 이는 2003∼2008년 기록했던 4.8%포인트의 절반을 밑도는 수치다. 이로써 2000년대 들어 본격화됐던 신흥시장 ‘황금시대’는 막을 내린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신흥국이 성장둔화에 빠져든 원인으로는 세계교역 감소, 원자재 가격 급락, 재정여건 악화, 생산성 둔화, 정책적 불확실성 등이 꼽혔다. 앞서 신흥국들은 1980년대 초반부터 2008년까지 기록적인 성장세를 보이면서 세계 경제의 지형을 변화시키는데 기여했다. 2000년대 들어 신흥국들은 세계경제 성장의 주된 엔진으로 부상했다. 2000∼2008년 신흥국의 세계경제 성장기여도는 52%, 2010∼2014년에는 60%에 달했다. 전 세계 무역에서 신흥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1994년에서 2014년까지 16%에서 32%로 급상승했다. 2014년 신흥국에 유입된 민간자본은 1조 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전 세계에 유입된 민간자본의 20% 수준이다. 신흥국들은 서로 활발히 교역했다. 2014년 신흥국 수출에서 다른 신흥국으로 수출하는 비중은 30%로, 2000년에 비해 2배 가까이 확대됐다. 한국 경제성장률이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2%대에 불과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이는 한국 경제의 저성장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은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9월 전망한 2.7%에서 최근에 2.5%로 0.2%포인트 하향조정했다. 앞서 현대경제연구원(2.8%), 한국경제연구원(2.6%)도 2%대 전망을 내놨다. 정부의 3.1%나 한국은행 3.2%, 한국개발연구원 3.0%를 제외하면 민간연구기관과 외국계 투자은행 사이에서는 2%대 성장 전망이 대세다. 서영경 한은 부총재보는 “잠재성장률을 다양한 모형으로 추정하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3%대 중반에서 2015∼2018년에는 3.0% 내지 3.2%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추산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