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두산중공업과 해양기자재 국산화한다

해양플랜트에 설치되는 핵심 기자재 6종 함께 개발

2017-02-04     최수진 기자
[매일일보 최수진 기자] 해양플랜트 기자재의 국산화를 위해 현대중공업과 두산중공업이 힘을 모은다.현대중공업은 경남 창원시 두산중공업 본사에서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이날 체결식에는 고석희 두산중공업 주단BG장, 이상록 현대중공업 해양설계부문장, 최상기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장, 조희철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본부장 등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했다.양사는 해양플랜트 설계기술과 생산기술을 공유해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부유식 구조 플랫폼(TLP) 등 해양플랜트에 설치되는 핵심 기자재 6종을 함께 개발하기로 합의했다.현대중공업은 두산중공업과 함께 육상플랜트 기술을 해양으로 확대 적용하고,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사용되는 주단조품(금속소재) 등을 공동 개발하게 된다.울산과 경남의 창조경제혁신센터도 중소기업을 발굴해 현대중공업, 두산중공업과 함께 해양플랜트 기자재 연구개발에 참여시킬 방침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을 이끈다는 복안인 것.현대중공업은 지난 2014년 9월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를 위한 TFT를 구성한 이후 압력용기, 공기압축기, 열 교환기 등 중소기업이 개발한 각종 기자재들을 제작 중인 해양플랜트에 실제로 적용해왔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총 38종의 해양기자재를 국산화했다.두산중공업도 지난 2012년 ‘해양플랜트용 저온 주단강 소재’를 개발 완료한데 이어, 지난 2013년부터 ‘고효율 대형 가스터빈 국산화’ 국책사업을 주도하는 등 플랜트 시장에서 자체 기술 확보에 힘써왔다.김숙현 현대중공업 해양사업 대표는 “대다수의 해양기자재를 수입하는 상황에서 기자재 국산화는 해양플랜트의 경쟁력을 높이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며 “중소기업들이 우리가 개발한 기술을 이용해 기자재 국산화에 나설 수 있도록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활동도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한편,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12월에도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등과 ‘엔진 기자재 국산화를 위한 MOU’를 체결하고 18개의 엔진 기자재 개발에 나서는 등 기자재 국산화에 앞장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