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용평가사, 亞 주요국 경제에 '옐로카드'
中·日·싱가포르 대비책 마련 시급하다 경고
[매일일보 서영상 기자] 아시아 경제를 이끌던 주요국 즉 중국·일본·싱가포르에 대한 외부기관의 평가가 수상하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주요 국제신용평가사들은 이들 국가의 경제정책 이나 전망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대표적으로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중국에 대해 2일 재정 지표 악화와 외환보유액 감소 등을 이유로 국가신용등급은 Aa3로 유지했으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무디스는 중국 정부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규모가 지난해 말 40.6%를 기록하며 3년 만에 8.1% 포인트 이상 올랐다는 점과 외환보유액이 최근 18개월 새 7620억 달러 줄어들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무디스는 “확실한 개혁이 없다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더 뚜렷하게 둔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일본의 경제 정책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내렸다.
킴 응 탄 S&P 아시아태평양 담당 선임이사는 “현재로선 일본 정부가 경제를 부양할 만큼 충분한 정책을 내놓을 수 있을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엔화 약세의 상황에서 내수와 물가 상승률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재정 균형이 또다시 악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10년 만기 국채를 마이너스 금리에 판매한 것이 단기적으로는 정부의 재정 부담을 덜지는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통화 정책 신뢰도에 타격을 준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는 “이 같은 시나리오에도 우리는 내년이나 내후년 안에 일본의 국가신용등급을 바꿀 것 같지는 않다”고 덧붙였다.
S&P는 지난해 9월 일본의 신용등급을 AA-에서 A+로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최근 경제성장률이 부진했던 싱가포르도 비판을 비켜가지 못했다.
무디스는 싱가포르의 경제 성장이 내려갈 일만 남아 있다고 평가했다.
싱가포르의 GDP 성장률은 2000∼2010년 사이 평균 6.2%의 고성장을 보였지만 지난해에는 2.0%에 그쳤다.
무디스는 “싱가포르가 성장률 유지와 중간 소득 증대라는 도전에 직면했다”며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이들 국가와 비교하면 한국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무디스는 지난해 12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3에서 Aa2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하며 역대 최고 등급을 부여했으며, S&P도 같은 해 9월 신용등급을 AA-로 한 단계 높였다.
피치는 지난 2월 한국의 신용등급을 AA-로 유지했다.
현재 아시아 주요국 가운데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최상위권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