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통위원 무더기 교체…'성장·안정에 막중한 책임'

신임 위원 21일 취임

2017-04-20     이경민 기자
[매일일보 이경민 기자] 미국의 금리 인상과 한국 경제에 저성장 우려 등으로 대내외 경제여건이 혼란스러운 격변기 상황에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절반 이상이 무더기 교체된다.이에 새 금통위가 부진한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고 금융시장 안정도 도모하는 최선의 통화정책을 추진해주길 바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현재 7명의 금융통화위원 중 하성근·정해방·정순원·문우식 위원 등 4명의 위원이 이날 4년의 임기를 마치고 퇴임한다.4명의 위원은 전날 마지막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결정, 20일 오후 한은 본관에서 이임식을 가진 뒤 한은을 떠난다.이들은 유럽 재정위기의 여파가 한창이던 지난 2012년 4월 취임한 이후 4년간 기준금리와 통화량 등 통화정책을 결정했다.4년간 우리 경제는 전 세계적인 수요 및 교역 감소와 유럽·중국 등의 성장 부진, 국내 경기 둔화 등이 맞물리면서 2011년 3.7%였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012년 2.3%로 급감했다.이후에도 2013년 2.9%, 2014년 3.3%, 2015년 2.6% 등 2014년 한해만 제외하면 줄곧 2%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금통위는 4년간 경기 회복을 뒷받침하고자 총 7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1.75%포인트 내렸다. 이로 인해 당시 연 3.25%였던 기준금리는 현재 사상 최저 수준인 1.50%로 떨어진 상태다. 하지만 잇단 기준금리 인하에도 경기 회복의 효과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저성장 국면이 장기화되고 있다는 우려만 커지고 있다. 반대로 장기 저금리로 인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저금리로 인해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부채가 급증해 1200조원을 넘어섰고 앞으로 한국경제의 위기를 촉발할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연초엔 중국 경제의 경착륙 우려로 금융시장이 요동을 친 데 이어 최근엔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한 일본에서 엔화가치가 상승하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김정식 연세대 교수는 “우리 경제가 개방 경제이므로 통화정책은 물가 안정이나 경기 부양에만 관심을 둬서는 안 된다”면서 “자본 유출로 인한 외환위기 가능성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여기에 미국의 금리 인상도 예정돼 있어 한은은 통화정책을 쉽사리 결정하기 어려운 여건 속에 둘러싸여 있다.퇴임하는 4명의 빈자리를 채울 조동철·이일형·고승범·신인석 등 신임 금통위원들은 이런 어려운 여건을 뚫고 경제 성장과 물가·금융시장 안정을 동시에 이뤄낼 막중한 책임을 안고 있는 것이다.경제 전문가들은 새 금통위원들이 거시 경제에 대한 전문성을 갖췄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객관적 경기 진단에 바탕을 둔 통화정책을 펼 것을 주문했다.연 1.50%에서 10개월째 동결된 기준금리 정책을 두고는 시각이 엇갈렸다.일부 전문가들은 경기 부양을 위해 한은이 선제로 추가 인하를 단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통화정책에서 단기적인 경기 부양보다 장기적 안목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이밖에 금통위원들이 금융시장 참가자들과 소통을 강화하고 국제적 감각을 키워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